- 영문명
- The Necessity and Implication of Empirical Interpretation of Oral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표인주(Pyo, In-ju)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8輯, 159~19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search on oral literature has mainly been focused on historical geography, structuralism, and field research, the methods of which have been used together or combined, rather than being substituted.
An empirical reading of the feng shui tale of Kim Dueok Ryeong, this study first found th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story was to justify the steps the master took to obtain a propitious site. Second, the imaginary structure of
this story shows that the feng shui tale of Kim Dueok Ryeong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values in the real life through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propitious site.
The narrative memory of oral narrative literature continues mainly through the changes in symbolic experiences, which leads to the formation of the symbolic horizon. The genealogy of signifier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symbolic horizon because various occurrence of signifiers form the symbolic horizon.
The symbolic transition in oral literature continues, basically for the vitality of the symbols. Severing the symbolic transition signifies the extinction of a symbol, which leads to a severance of the culture.
목차
1. 머리말
2. 구술문학의 연구 경향과 한계
3. 구술문학의 체험주의적 방법론
4. 구술문학의 체험주의적 해석과 의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