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로 진행하는 멀티미디어 영문법 수업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교사 협력 연구
이용수 79
- 영문명
- 발행기관
- 영상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성지희(Sung, Jeehee)
- 간행물 정보
- 『STEM Journal』20권 1호, 119~1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benefits of and challenges to teacher collaboration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multimedia-assisted English grammar classes in the aspect of TETE, as well as students’ reactions toward these grammar instructions. This study discusses the results of using English-medium instruction and multimedia in English grammar classes that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collaboratively by a group of instructors. Seventy-eight college students whose TOEIC scores were under 750 participated in a fifteen-week English grammar program that involved using multimedia and English-medium instruction. Subjects were asked to sign up for the online community and take the English-only classes.
Three non-native instructors were interviewed and student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using multimedia and English-medium instruction for English grammar clas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despite the many challenges and difficulties it brings for teachers, teacher collaboration is critical in designing a multimedia–assisted English grammar syllabus and implementing TETE because it ensures good quality instructional materials and improved instructional practice. Based on interviews with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responses to the English grammar classes, this paper also provide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better teacher collaboration in the field of English grammar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설계
IV.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활용한 영화영어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
- 영화를 활용한 영시 수업 연구
- 초등영어 교육에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모바일 협력학습 기반 플립러닝 수업 방안
- 인공지능 기반 음성로봇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학습 시스템 개발 방안
- 혼돈/복잡성 이론(Chaos/Complexity Theory) 관점에 따른 영화 영어 학습에서의 ‘Interaction’ 1 연구
- 영화를 활용한 다단어단위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 연구: 나우 유 씨 미 2를 중심으로
- Exploring the Potential of a Computerized Corrective Feedback System Based on a Process-Oriented Qualitative Error Analysis *
- 영어 뮤지컬 제작의 교육적 효과 연구: 특성화고 1학년을 중심으로
- 위키기반 EFL 글쓰기에서 나타난 협력적 동료 수정과 피드백에 대한 연구
- 영어로 진행하는 멀티미디어 영문법 수업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교사 협력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