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활용한 영화영어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493
- 영문명
- 발행기관
- 영상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준(Lee, Yun Joon)
- 간행물 정보
- 『STEM Journal』20권 1호, 45~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uggest a way to get college students to become active in screen English classes. In order to do this,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Hobbs & Jensen, 2009; Lee, 2018) has been borrowed. Two Marvel movies, Captain America:
The First Avenger (Johnston, 2011) and Captain America: The Winter Soldier (Russo & Russo, 2014) were used. Four college leve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teacher asked five questions about the movies, and provided movie clips to help the participants answer the questions. After the lesson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showed three positive findings. The first is that media literacy involves asking questions which stimulate curiosity about the content. The second is that media literacy has a focus on contents or the subject, not on language items.
Because students are digital natives, they will develop and create stories wit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This will result in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screen English classes. The third is that the teacher should combine student curiosity about the subject with relevant English language learning. Current students prefer to create a new world through English not to learn English through subjects or contents. The consequences of this will b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문헌조사
III. 실험 설계
IV. 결과 및 분석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활용한 영화영어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
- 영화를 활용한 영시 수업 연구
- 초등영어 교육에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모바일 협력학습 기반 플립러닝 수업 방안
- 인공지능 기반 음성로봇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학습 시스템 개발 방안
- 혼돈/복잡성 이론(Chaos/Complexity Theory) 관점에 따른 영화 영어 학습에서의 ‘Interaction’ 1 연구
- 영화를 활용한 다단어단위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 연구: 나우 유 씨 미 2를 중심으로
- Exploring the Potential of a Computerized Corrective Feedback System Based on a Process-Oriented Qualitative Error Analysis *
- 영어 뮤지컬 제작의 교육적 효과 연구: 특성화고 1학년을 중심으로
- 위키기반 EFL 글쓰기에서 나타난 협력적 동료 수정과 피드백에 대한 연구
- 영어로 진행하는 멀티미디어 영문법 수업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교사 협력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