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혼돈/복잡성 이론(Chaos/Complexity Theory) 관점에 따른 영화 영어 학습에서의 ‘Interaction’ 1 연구
이용수 130
- 영문명
- 발행기관
- 영상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노윤아(Rho, Yoon-Ah)
- 간행물 정보
- 『STEM Journal』20권 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d two aims. First, it sought to offer a new perspective on interaction by following Larsen-Freeman’s (1997) chaos/complexity theory (C/CT). Second, it set out to examine the types of interactions that occur when movies are used as English teaching materials. In this study, four college student participants received instruction based on the American movie I Feel Pretty (Kohn & Silverstein, 2018). To observe the participants’ interactions, the researchers asked them to complete the following five tasks: describe the movie’s plot, compare it with another similar Korean movie, discuss culture, write a short essay about the movie in English, and discuss multi-word units (MWUs). The first three tasks concerned content and the researchers expected all participants to actively interact with each other when completing them. All the participants actively discussed culture; however, they did not enjoy talking about the other two content-related topics. The final two tasks pertained to language. In completing these tasks, the participants bare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mainly interacted with the teacher. Also, the participants were very interested in learning MWUs. In sum, the participants’ interactions did not match the teacher’s expectations overall, indicating that Larsen-Freeman’s C/CT most persuasively explains interactions in real-life English class situations.
목차
I. 서론
II. 문헌 조사
III. 실험 설계
IV. 결과 및 분석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활용한 영화영어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
- 영화를 활용한 영시 수업 연구
- 초등영어 교육에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모바일 협력학습 기반 플립러닝 수업 방안
- 인공지능 기반 음성로봇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학습 시스템 개발 방안
- 혼돈/복잡성 이론(Chaos/Complexity Theory) 관점에 따른 영화 영어 학습에서의 ‘Interaction’ 1 연구
- 영화를 활용한 다단어단위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 연구: 나우 유 씨 미 2를 중심으로
- Exploring the Potential of a Computerized Corrective Feedback System Based on a Process-Oriented Qualitative Error Analysis *
- 영어 뮤지컬 제작의 교육적 효과 연구: 특성화고 1학년을 중심으로
- 위키기반 EFL 글쓰기에서 나타난 협력적 동료 수정과 피드백에 대한 연구
- 영어로 진행하는 멀티미디어 영문법 수업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교사 협력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