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stimation of Current and Future Market Size of Pet Related Industries)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조재성(Jaesung Cho) 서강철(Gangcheol Seo) 김현중(Hyunjoong Kim) 김원태(Wontae Kim) 지인배(Inbae Ji)
- 간행물 정보
- 『농업경영.정책연구』농업경영·정책연구 45권 3호, 611~62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Korea,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especially dogs and cats, is rapidly increasing mainly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uclear famili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Nevertheless, only one study has explored the future market size of pet related industries by applying compound annual growth rate to the market size in 2012.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pdate the information on the market size of pet related industries and to estimate the potential market size in the future using a bass diffus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 total of 9.32~9.97 million dogs and cats was estimated to live in Korean households as pets in 2018. This number will increase to 11.55~16.49 million in 2027.
The market size of pet related industries in Korea was estimated to 1,544 billion KRW in 2018 and 3,498 billion KRW in 2027.
목차
Ⅰ. 서 론
Ⅱ. 반려동물 사육 현황
Ⅲ. 반려동물 관련 소비 지출 현황 및 시장 규모
Ⅴ. 반려동물 사육 규모 및 관련 시장 규모 전망
Ⅵ.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물바이오 산업 클러스터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수입축산물의 비대칭적 가격전이
- 식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과 농식품 소비 반응에 관한 연구
- ICT 도입에 따른 생산성 변화가 돈육시장에 미치는 영향
- 생산성과 경영전문화가 쌀 소득에 미치는 영향분석 : 경기도 쌀 생산 농가를 중심으로
- 경상북도 시군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도시민들의 귀농 유발요인 분석
- MPI를 이용한 포도 작형별 생산성 분석
- 가계패널자료를 이용한 계절별 과일 수요분석
- 농업회계 재무지표를 활용한 벼 재배농가 유형구분
- 양념 채소 저장의 수급 안정 및 경제적 효과 분석
- 반려동물 관련 산업 규모 추정 및 전망
- 망고 수입이 국내 과일수요에 미친 영향
- 수정된 중요도-만족도 분석법을 적용한 육우고기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 식품 소비에서의 물리적 제약에 대한 간접 증거
- 농가유형별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소득효과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