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령집단별 빈곤의 거시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용수  284

영문명
A Study on Macroscopic Determinant Factor of Each Age Group s Poverty : Focusing on OECD countries
발행기관
한국경제발전학회
저자명
최은영(Choi, Eun Young) 정순둘(Chung, Soon Dool) 주소현(Joo, So Hyun)
간행물 정보
『경제발전연구』經濟發展硏究 第24卷 第4號, 41~6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OECD 국가 통계자료(2007∼2017년)를 이용하여 OECD 34개 국을 대상으로 연령집단별 빈곤율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을 분석하 였다. 빈곤율을 측정한 연령집단은 근로집단(18-65세)과 노인집단(66세 이상) 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거시적 요인들은 경제적 요인, 인구 구조적 요인, 복지 정책적 요인들에 해당하는 지표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국가 간 횡단면 자료와 국가 시계열 자료를 통합하여 OLS와 WLS의 다중선 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18-65세 근로빈곤율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은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출산율(+), 노인인구비중(+), 공적사회지출비중(-), 노령연금지출(+)이며, 66세 이상 노인빈곤율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은 실업률(-), 물가상승률(-), 공적사회지출비중(-)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적사회지출비중의 확대는 모든 연령집단에서 빈곤율을 감소 시킬 유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복지지출의 양적 증대가 요구된다. 따라서본 연구는 OECD 국가들의 빈곤완화를 위한 거시적 정책 모색에 있어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macroscopic factors that affect each age group s poverty in 34 OECD countries using national statistics of OECD countries(2007 ∼2017). The poverty rate was measured by the working group (age of 18-65) and the elderly group (age of over 66). The macroscopic factors are analyzed with the use of indexes that are involved with economic factor, demographic factor and welfare policy factor. The analytical method was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OLS and WLS by integrating cross-sectional data and national time series data.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macroscopic factors that affect working poverty rates of the age of 18-65 are economic activity rate(-), unemployment rate(+), birth rate(+), aged population ratio(+), public social expenditures rate(-) and old-age pension expenditures(+). The macroscopic factors that affect the elderly poverty rate are unemployment rate(-), inflation rate(-), and public social expenditures rate(-). Especially, the expansion of public social expenditures rate can cause poverty rate to decrease in all the age groups, so an increase in quantity of welfare expenditures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can be an important guideline in seeking for a macroscopic policy for poverty alleviation in OECD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령집단별 빈곤율의 다중회귀 추정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영(Choi, Eun Young),정순둘(Chung, Soon Dool),주소현(Joo, So Hyun). (2018).연령집단별 빈곤의 거시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경제발전연구, 24 (4), 41-64

MLA

최은영(Choi, Eun Young),정순둘(Chung, Soon Dool),주소현(Joo, So Hyun). "연령집단별 빈곤의 거시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경제발전연구, 24.4(2018): 4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