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녀 연령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이용수 311
- 영문명
- Children’s age and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경제발전학회
- 저자명
- 박세은(Seeun Park) 고 선(Sun Go)
- 간행물 정보
- 『경제발전연구』經濟發展硏究 第24卷 第4號, 23~3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자녀 연령 변화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노동패널 1~19차 자료를 이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 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녀의 연령은 기혼여성의 경력단절과 경력복귀에 긴밀하게 영향을 미쳤다. 미취학연령대 자녀가 있으면 경력단절 위험이 높았 고, 특히 출산 직후 만 0세 자녀가 있으면 취업 후 경력단절 확률이 두 배 이상 상승했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절반 이상이 경제활동에 다시 참여 했지만, 자녀 연령이 만 0세, 1세, 3세일 경우 여성의 경력복귀 확률이 낮아 졌다. 조사기간 동안 출산을 경험한 여성 표본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녀가 만 9세가 되면 여성의 경력복귀 확률이 증가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줄이고 경력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설계할 때 자녀 연령에 따른 여성의 노동공급 행동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We study the effect of children’s age on their mother’s labor supply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The result from an analysis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shows that children’s age is closely related with their mother’s career interruption and return. A woman’s hazard rate of career interruption increases when she has a child younger than the school-entry age. The existence of a child whose age is less than one raises the hazard rate of career interruption more than twice. When a child is 0, 1, and 3 years old, the mother’s hazard of career return decreases significantly. Once a child’s age becomes 9, the mother’s hazard of career return rises. The findings imply that policy to reduce women’s career interruption and to help their career return should consider changes in women’s labor supply behaviors caused by their children’s ages.
목차
I. 서론
Ⅱ. 자료
Ⅲ. 분석모형
Ⅳ.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