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위별 CT검사에서 조영제 희석 사용에 대한 유용성 평가
이용수 130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Dilution of Contrast Media in CT Examinations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이성주(Seong Ju Lee) 박연(Yeon Park) 정다희(Da Hi Jeong) 옥승호(Seung Ho Ock) 황희진(Hi Jin Hwang) 임흥선(Heung Seon Hwang)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3권 제2호, 161~16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대부분의 컴퓨터단층촬영 조영검사는 원액의 조영제를 주입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조영제급속주입에 따른 선속경화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선속경화현상을 줄이고 조영제양을 감소시키고자 조영제와 생리식염수를 혼합사용하여 희석비율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 27일부터 2011년 1월 21일까지 동일 부위를 2회 이상 검사하는 환자 58명 중, 두번의 검사시 체중의 차이가 5%를 넘지 않는 4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64-MDCT(Brilliance Philips Medical System Cleveland Ohio, USA)를 사용하여 각부위를 검사하였고, 조영제는 원액과 9:1와 8:2(조영제대생리식염수)로 자동주입기(Dual shot auto injector, Nemotokyorindo, Japan)를 이용하여 각각 희석하여 주입하였다.
얻어진 모든 영상에서 여섯 부위인 경동맥, 쇄골하정맥, 상행대동맥, 폐동맥, 간실질, 비장실질에서 관심영역을 정하여 감쇄계수(HU)를 PACS 장비(M-view 5.4, Infinitt PACS, Korea)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PSS(vs.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결과
조영제를 원액과 9:1과 8:2로 희석한 영상에서 여섯 부위의 감쇄계수평균값 중에 쇄골하정맥에서 평균값이 1035.5±823, 869.4土577.1, 470.0±577.0(p=0.029)로 유의하게 나타나 그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고, 나머지 다섯 부위에서의 감쇄계수값의 평균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조영제를 희석하여 사용함으로써 쇄골하정맥부의 선속경화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화질개선에 영향을 줄 수 있었고, 나머지 측정부위에서 감쇄계수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환자에게 사용되는 조영제 양을 감소시켜 용량의존성(Dose dependent) 부작용을 경감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 Purpose
Undiluted solution of contrast media has been injected in the most CT examinations. Tue beam hardening effects were shown in some images due to using it with bolus injection. We used the dilution solution of contrast media to reduce the beam hardening effects and evaluated the ratio of dilution between contrast media and saline and its effects.
II. Meterial and Methods
58 patients who were injected the undiluted solution of contrast media before were examined with dilution of contrast media in a 64-MDCT (Brilliance Philips Medical System Cleveland Ohio, USA) from December 2008 to January 2011. The dilution ratio of contrast media was 9:1 and 8:2 (Contrast media vs. Saline) and injection was done by an auto-injector (Dual shot auto injector, Nemotokyorindo, Japan). All images were acquired in six different regions like Carotid Artery, Subclavian Vein, Ascending Aorta, Pulmonary Artery, Liver Parenchyma, and Spleen Parenchyma. HU values were measured on the PACS (M-view 5.4, Infinitt PACS, Korea) in six different regions. SPSS (v18) was used for verification of all data.
III. Result
The mean HU values in only Subclavian Veins were 1035.5±823, 869.4±577.1, 470.0±577.0 (p=0.029) in undiluted and 9:1 and 8:2 diluted solutions. It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Others HU values showed no differences.
IV. Conclusions
The dilution of contrast media could reduce the beam hardening effects in Subclavian vein region and finally improve image quality. And also, we could expect that the side effects of dose dependent contrast media will be decreased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of HU values in other region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과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DCT의 정량적 분석 Software를 통한 Mandible의 Bone Mineral Density에 대한 고찰
- Adenosine Stress Dual Energy Cardiac Perfusion CT에서 심근관류 결손부위와 주변 정상심근의 조영증강 정도에 따른 Dual Energy Image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흉부 CT검사 시 검사부위를 벗어난 Topogram 부위에 Automatic Exposure Control 적용이 선량 및 화질에 미치는 영향
- 관류 전산화단층촬영(CT Perfusion)에서 HU값에 따른 색지도(Color mapping)에 대한 연구
- 여성 환자의 CT coronary angiography 검사시 압박밴드를 이용한 선량감소
- CT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환자의 심박동수 및 체질량 지수에 따라 심전도 동조화 방법과 관전압 변화에 따른 영상 평가와 피폭선량에 관한 고찰
- 여성 흉부 CT 검사 시 ASIR의 적용과 Bismuth Breast Shield 사용으로 인한 선량감소효과 및 화질평가
- 복부 CT 검사 시 여성의 유방과 남성의 고환에 대한 조직 흡수선량과 화질 평가
- Dual Source CT에서의 IRIS(lterative Reconstruction of Image Space) 적용에 따른 화질연구와 영상진단의 유용성
- 심실 기능 지표(EF, EDV, ESV)에 따른 관상동맥 CT혈관조영술(Cadiac CTA) 영상의 질과의 비교 분석
- 부위별 CT검사에서 조영제 희석 사용에 대한 유용성 평가
- Bowtie Filter Size에 따른 X-축 방향의 Miscentering이 선량과 화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KIAMI)에서 시행되는 CT 정도관리항목의 정량적 평가에 대한 연구
- Dual-Source CT에서 Coronary Angiography 검사와 병행한 Cardiac Stress Perfusion검사의 유용성과 선량에 대한 고찰
- 전산화 단층촬영 견관절조영술에서 보조기구를 이용한 ERAS(External Rotation Active Supination) 검사방법의 고찰
- Dual source CT의 High-pitch를 이용한 요추CT 검사의 유용성 분석
- FAI 환자의 30 Pelvic CT MPR 영상의 유용성
- Dual Source CT에서 Selective Photon Shield를 사용한 Material Separation 영상의 quality와 선량 비교에 관한 실험
- 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 기법을 적용한 측두골 CT 검사의 선량 감소와 영상의 질에 대한 고찰
- Stent가 삽입된 관상동맥 CT영상에서 재구성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른 진단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하지 혈관검사시 영상의 질적 향상과 삼차원 영상 작업시간의 효율성 개선
- MAR(Metal artifact Reduction) algorithm을 이용한 Beam hardening artifact의 감약과 Dual Energy(kvp switching) CT의 임상적 유용성 고찰
- X-CARE 사용시 안구와 유방의 선량 감소 효과와 영상 평가에 관한 연구
- Brain Perfusion CT검사 시 재구성 영상기법을 이용한 선량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ASIR를 이용한 CT검사의 방사선 선량 최적화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