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환자의 CT coronary angiography 검사시 압박밴드를 이용한 선량감소
이용수 55
- 영문명
- Dose reduction using compression band in CT coronary angiography exam of female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김혜진(Hye Jin Kim) 유흥준(Heung joon Yoo)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3권 제2호, 37~4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CT를 이용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는 여성 환자에게 압박밴드를 이용하여 체적 변화에 따른 선량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5월부터 2011년 1월까지 Dual-Energy CT를 이용하여 Coronary angiography를 Follow-up하는 여성 환자중 비만도가 높은 환자 20명을 선택하였고 기준은 체질량지수를 구하여 25 이상인 환자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방법은 대상 환자 중에서 이전에 압박밴드를 하지 않고 시행한 검사와 압박밴드를 한 후 검사에서 Calcium Scoring에서의 ref.mAs값과 체적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고, Calcium Scoring에서 ref.mAs의 감소량만큼 Eff.mAs를 낮게 설정하여 Coronary angiography를 검사 시행 후 화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압박밴드를 착용 후 Care Dose 4D를 이용하여 검사한 Calcium Scoring에서 체적은 과체중(BMI 25~30)군에서 13.1%, 비만(BMI 30 이상)군에서 13.7% 감소하였고, ref.mAs는 과체중군에서 14.9%, 비만군에서 21.7% 감소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압박밴드를 하고 선량을 줄여 검사를 시행한 Image와 이전의 Image에서 LM과 Ascending aorta의 noise값을 측정한 결과 변동폭의 평균이 과체중군에서 LM은 2.5, Ascending aorta는 0.9로 나타났고 비만군에서 LM은 3.6, Ascending aorta는 3.0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만도가 높은 여성 환자들에게 압박밴드를 하고 검사를 진행하면 선량 감소 효과가 있고, 특히 유방이 큰 환자에게서 더 큰 감소폭을 보였다. 또한 고도비만 환자에서 기존의 CT검사 시 한계선량으로 발생되는 화질의 저하를 압박밴드를 사용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 Purpose
To find dose fluctuation according to body weight using compression band in CT coronary angiography exam of female patients.
II. Meterial and Methods
Select high obesity patients of 20 which is come for follow up exam of Coronary angiography using Dual-Energy CT from may, 2009 to January, 2011. this, high obesity patients are considered that BMI(Body Mass Index) is over 25. we compare ref.mAs and fluctuation of BMI in calcium Sooring of prior exams without compression band with those with compression band and also evaluate image quality with Coronary angiography set low Eff.mAs by reference to reduced ref.mAs.
III. Result
In calcium Scoring exams using care Dose 4D with compression band, Volume of body area in nipple region is decreased 13.1% in overweight group(BMI 25~30) and 13.7% in obesity group(BMI 30 and above). ref.mAs is also reduced 14.9% in overweight group(BMI 25~30) and 21.7% in obesity group(BMI 30 and above). based on this data, we measured figures of Noise Index: on LM and Ascending Aorta in images of exam which is taken advantage of a compression bend or not. As a result, it shows that average of the range of fluctuation was 2.5 at LM and 0.9 at Ascending aorta from overweight group, which was 3.6 at LM and 3.0 at Ascending aorta from obesity group.
IV. Conclusions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dose reduction using compression band in obesity female patients. especially, in case of busty patients, to use a compression band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dose reduction. also, in obesity patients, to use a compression band improve maximum dose limits in prior CT exams from degrading image qual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DCT의 정량적 분석 Software를 통한 Mandible의 Bone Mineral Density에 대한 고찰
- Adenosine Stress Dual Energy Cardiac Perfusion CT에서 심근관류 결손부위와 주변 정상심근의 조영증강 정도에 따른 Dual Energy Image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흉부 CT검사 시 검사부위를 벗어난 Topogram 부위에 Automatic Exposure Control 적용이 선량 및 화질에 미치는 영향
- 관류 전산화단층촬영(CT Perfusion)에서 HU값에 따른 색지도(Color mapping)에 대한 연구
- 여성 환자의 CT coronary angiography 검사시 압박밴드를 이용한 선량감소
- CT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환자의 심박동수 및 체질량 지수에 따라 심전도 동조화 방법과 관전압 변화에 따른 영상 평가와 피폭선량에 관한 고찰
- 여성 흉부 CT 검사 시 ASIR의 적용과 Bismuth Breast Shield 사용으로 인한 선량감소효과 및 화질평가
- 복부 CT 검사 시 여성의 유방과 남성의 고환에 대한 조직 흡수선량과 화질 평가
- Dual Source CT에서의 IRIS(lterative Reconstruction of Image Space) 적용에 따른 화질연구와 영상진단의 유용성
- 심실 기능 지표(EF, EDV, ESV)에 따른 관상동맥 CT혈관조영술(Cadiac CTA) 영상의 질과의 비교 분석
- 부위별 CT검사에서 조영제 희석 사용에 대한 유용성 평가
- Bowtie Filter Size에 따른 X-축 방향의 Miscentering이 선량과 화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KIAMI)에서 시행되는 CT 정도관리항목의 정량적 평가에 대한 연구
- Dual-Source CT에서 Coronary Angiography 검사와 병행한 Cardiac Stress Perfusion검사의 유용성과 선량에 대한 고찰
- 전산화 단층촬영 견관절조영술에서 보조기구를 이용한 ERAS(External Rotation Active Supination) 검사방법의 고찰
- Dual source CT의 High-pitch를 이용한 요추CT 검사의 유용성 분석
- FAI 환자의 30 Pelvic CT MPR 영상의 유용성
- Dual Source CT에서 Selective Photon Shield를 사용한 Material Separation 영상의 quality와 선량 비교에 관한 실험
- 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 기법을 적용한 측두골 CT 검사의 선량 감소와 영상의 질에 대한 고찰
- Stent가 삽입된 관상동맥 CT영상에서 재구성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른 진단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하지 혈관검사시 영상의 질적 향상과 삼차원 영상 작업시간의 효율성 개선
- MAR(Metal artifact Reduction) algorithm을 이용한 Beam hardening artifact의 감약과 Dual Energy(kvp switching) CT의 임상적 유용성 고찰
- X-CARE 사용시 안구와 유방의 선량 감소 효과와 영상 평가에 관한 연구
- Brain Perfusion CT검사 시 재구성 영상기법을 이용한 선량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ASIR를 이용한 CT검사의 방사선 선량 최적화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