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udy on the Usefulness of AI-Based Computer-Assisted Diagnostic Devices in Women with Asymptomatic Dense Breast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주희(Ju-Hee Kim) 장현철(Hyon-Chol Jang) 조평곤(Pyong-Kon Cho)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8권 제3호, 233~24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자동 유방 초음파(Automated Breast Ultrasound, ABUS)를 시행하여 인공지 능 기반 자동 유방 초음파용 컴퓨터 보조 진단(Artificial Intelligence-Computer Aided Detection and Diagnosis, AI-CAD) 장 치가 검출한 종괴성 병변의 특성과 인공물에 대하여 분석하고 AI-CAD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은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고, 빈도 분석을 활용하여 ABUS 판독 시간, 종괴성 병변을 결절성 병변과 낭성 병변, 크기, 모양, 경계, 에코 패턴, 방향, 위치, CAD 인식 결절 개수로 분석하였고, 인공물 특성을 위치와 종류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결절 및 낭성 병변의 경계성 평가하여 유방암 발견을 향상시키고 판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향후 ABUS와 AI-CAD 장 치의 영상학적 특성을 알고 대규모의 후향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AI-CAD 장치를 통한 판독 효율성이 더 향상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artifacts of mass lesions detect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Computer Aided Detection and Diagnosis (AI-CAD) device in women with asymptomatic dense breasts who under- went automated breast ultrasound (ABUS) and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AI-CA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 jec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ABUS reading time, mass lesions into nodular lesions and cystic lesions, size, shape, border, echo pattern, direction, location, and number of CAD-recognized nodules. Artifac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location and type. As a result, the time to expand the field of view by evaluating the borderline of nodular and cystic independence was shortened. The retrospective story of the visually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ABUS and AI-CAD devices will make the conversation about AI-CAD devices more enjoyabl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 심전도 및 심장초음파 피검사자 대상 심장질환 빈도분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차자료 중심으로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 YOLO 기반 객체 탐지 기술을 활용한 방사선 모의치료 시 고정기구 사전 인식 시스템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