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류 전산화단층촬영(CT Perfusion)에서 HU값에 따른 색지도(Color mapping)에 대한 연구
이용수 37
- 영문명
- Maintaining objectivity for color mapping from blood flow and HU value after CT perfusion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배성근(Seong Keun Bae) 정성민(Sung Min Chung) 엄민지(Min Ji Um) 추상덕(Sang Deok Chu)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3권 제2호, 115~12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수술 후 관류검사를 한 환자를 대상으로 SSS(superior sagittal sinus) & MCA(middle cerebral artery)의 혈류량의 최고치(Peak)와 CT값(HU)의 평균값을 구하여 CT관류 Program을 이용하여 검사자들이 동일한 색조치(Window Level, W.L)로 균일하고 객관성 있는 색지도(color mapping)를 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수술 후 관류검사를 한 남성:여성(60:40), 나이분포 20~70세, 평균나이 55세의 1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류영상획득을 위해 somatom Sensation 16 scanner(Simens, Enlarge Germany)를 사용하여 80 kvp, 209 mAs, 12 mm slice thickness로 기저핵이 잘보이는 부위에서 40초간 80장의 영상을 얻었다. 조영제는 4.5cc/sec로 40cc 자동주입 하였고, 이어서 같은 속도로 saline 10cc를 추가로 정맥에 주입하였다. 관류영상분석은 동일한 회사의 관류 Program(Simens, Wizard)을 사용하여 MIP, CBF, CBV, MTT 네 가지 관류영상을 얻었다.
결과
네 가지의 관류영상(MIP, CBF, CBV, MTT)에서 radiologist, operator A, B, C가 SSS, MCA, SSS-MCA에서 얻은 HU값으로 적절한 색지도를 한 결과 SSS의 HU값을 이용한 영상평가가 가장 적절한 색조치를 보였다.
결론
각각의 검사자는 SSS의 HU값을 기준으로 하여 MIP, CBF, CBV, MTT의 색조치를 Window level(W. L)값을 이용하여 균일하고 객관성 있는 색지도를 함으로써 판독에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영문 초록
I. Purpose
To maintain objectivity of color mapping using the same window level by each operator through CT Perfusion program while comparing the blood flow of arteries and veins and mean value of CT value(H. U) on target patients being examined CT Perfusion after brain operation.
II. Meterial and Methods
Ftp May to November in 2009, 100 patients (age range: 20-70, mean: 55, male: 60 persons, female: 40 persons) were participated. 80 Images were displayed in an aqusition time of 40 secs, onregion of basal ganglia using Somatom Sensation 16 (Simens, Enlarge Germany) for perfusion image aquisition with 80 Kvp, 209 mAs, 12 mm slice thickness. contrast materials were injected by auto injector (medrad) with 40 cc at 4.5 cc/sec continually injected 10 cc saline by same velocity. 4 types images MIP(maximum intensity projection), CBF(cerebral blood flow), CBV(cerebral blood volume), MTT(mean transit time) were obtained by using perfusion program(Seimence, Wizard).
III. Result
Radiologists and operators evaluated data through color mapping of proper W. value participations patients obtained data from SSS, MCA, SSS-MCA on 4 type images(MIP, BF, CBV, MTT) as a result, MIP80, CBF 0~100:60~65, 100~00:70~75, 200~300:76~80, 300~00:80~85, 400~500:88~90), 500~600:90~95, CBV 0~100:70~75, 100~00:75~80, 200~00:80~90, 300~00:90~95, 400~00:95~100, 500~600:100~105, MTT 0~00:100~105, 100~200:115~200, 200~300:120~125, 300~400:125~130, 400~500:130~140, 500~600:140~150 also, the higher value of HU, the faster time of time peak on SSS and MCA.
IV. Conclusions
Each operator obtain good image by color maping maintaining objectivity between MIP, CBF, CBV, MTT, by standard SS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DCT의 정량적 분석 Software를 통한 Mandible의 Bone Mineral Density에 대한 고찰
- Adenosine Stress Dual Energy Cardiac Perfusion CT에서 심근관류 결손부위와 주변 정상심근의 조영증강 정도에 따른 Dual Energy Image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흉부 CT검사 시 검사부위를 벗어난 Topogram 부위에 Automatic Exposure Control 적용이 선량 및 화질에 미치는 영향
- 관류 전산화단층촬영(CT Perfusion)에서 HU값에 따른 색지도(Color mapping)에 대한 연구
- 여성 환자의 CT coronary angiography 검사시 압박밴드를 이용한 선량감소
- CT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환자의 심박동수 및 체질량 지수에 따라 심전도 동조화 방법과 관전압 변화에 따른 영상 평가와 피폭선량에 관한 고찰
- 여성 흉부 CT 검사 시 ASIR의 적용과 Bismuth Breast Shield 사용으로 인한 선량감소효과 및 화질평가
- 복부 CT 검사 시 여성의 유방과 남성의 고환에 대한 조직 흡수선량과 화질 평가
- Dual Source CT에서의 IRIS(lterative Reconstruction of Image Space) 적용에 따른 화질연구와 영상진단의 유용성
- 심실 기능 지표(EF, EDV, ESV)에 따른 관상동맥 CT혈관조영술(Cadiac CTA) 영상의 질과의 비교 분석
- 부위별 CT검사에서 조영제 희석 사용에 대한 유용성 평가
- Bowtie Filter Size에 따른 X-축 방향의 Miscentering이 선량과 화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KIAMI)에서 시행되는 CT 정도관리항목의 정량적 평가에 대한 연구
- Dual-Source CT에서 Coronary Angiography 검사와 병행한 Cardiac Stress Perfusion검사의 유용성과 선량에 대한 고찰
- 전산화 단층촬영 견관절조영술에서 보조기구를 이용한 ERAS(External Rotation Active Supination) 검사방법의 고찰
- Dual source CT의 High-pitch를 이용한 요추CT 검사의 유용성 분석
- FAI 환자의 30 Pelvic CT MPR 영상의 유용성
- Dual Source CT에서 Selective Photon Shield를 사용한 Material Separation 영상의 quality와 선량 비교에 관한 실험
- 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 기법을 적용한 측두골 CT 검사의 선량 감소와 영상의 질에 대한 고찰
- Stent가 삽입된 관상동맥 CT영상에서 재구성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른 진단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하지 혈관검사시 영상의 질적 향상과 삼차원 영상 작업시간의 효율성 개선
- MAR(Metal artifact Reduction) algorithm을 이용한 Beam hardening artifact의 감약과 Dual Energy(kvp switching) CT의 임상적 유용성 고찰
- X-CARE 사용시 안구와 유방의 선량 감소 효과와 영상 평가에 관한 연구
- Brain Perfusion CT검사 시 재구성 영상기법을 이용한 선량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ASIR를 이용한 CT검사의 방사선 선량 최적화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