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19 구급 신고 분석: 대화 시간 및 내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64
- 영문명
- An Analysis of 119 Emergency Calls: Focused on Conversation Time and Content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장경호(Kyungho Jang) 강경희(Kyunghee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2 No.4, 103~10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19 종합상황실의 상황 요원은 화재, 구조, 구급 등의 위기 상황을 처음으로 인지하고 대응 체계를 가동시켜야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119 구급 신고와 관련하여 상황 요원의 신속하고 정확한 수보 활동은 환자의 생명은 물론 예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4월 8일부터 12월 31일의 ○○시 신고 접수, 출동, 구급활동 자료를 이용해 상황 요원과 신고자의 대화 회전 수와 대화 시간, 그리고 대화 구조 및 순서의 시간 등을 접수 경로와 중증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황 요원과 신고자의 대화 분석은 향후 상황관리단계에 따른 조치 사항 또는 행동 매뉴얼의 개발이나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call-takers in the 119 General Situation Room are playing important roles in recognizing the first crisis situation such as fire, rescue, and emergency, and in starting up the response system.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the emergency calls, the prompt and accurate surveillance can determine the patient s life as well as the prognosis. Based on April 8-December 31, 2014 Prehospital Care Reports in a metropolitan city, we analyzed the conversation turns and the conversation time between the agent and the caller, and the time of the conversation structure and sequence according to the reception routes and the severity of symptoms. The conversation analysis between the agent and the caller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action manual in the future.
목차
1. 서 론
2. 분석 자료 및 방법
3. 분석 결과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FAST를 이용한 구획실 가스화재의 디자인 화재곡선 평가
- 소방용 화학보호복 착용 현장대원의 일상 훈련용 프로토콜 설계 및 활동성 분석
- 공동주택 내 비상방송설비의 음성명료도 실태 분석 및 재실자 인지성 개선방안 연구
- 노인의료복지시설 화재 시 와상노인의 피난안전성 제고를 위한 피난허용시간 연장과 소방기관으로의 통보시간 연구
- 고온조건하에서 소방용 보호복 착용시 주기적 작업과 작업강도에 따른 신체영향
- 제조사 보정상수에 기인한 열유속계의 측정 오차
- 건식공법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화재 확산의 실험적 연구
-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 침수피해지역의 응급이송서비스 취약성 분석
- 서브파이프의 유무에 따른 워터노즐의 성능특성연구
- 피난조명 및 음성경보 기능을 내장한 화재경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장방향 복도 공간의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음압 레벨과 음성 명료도 비교
- 제연구역의 압력변화에 따른 풍량제어 배출댐퍼 개발
- 의용소방대 조직의 학술적 개념 변화
- 119 구급 신고 분석: 대화 시간 및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2 Contents
- Comparative Study on Validation of Multi-Step Chemical Reaction Model in Fire Simulation
-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n a Fully Developed Compartment Fire by Water Appli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