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FAST를 이용한 구획실 가스화재의 디자인 화재곡선 평가
이용수 25
- 영문명
- Evaluation of Design Fire Curves for Gas Fires in a Compartment Using CFAST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백빛나(Bitna Baek) 오창보(Chang Bo Oh) 황철홍(Cheol-Hong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2 No.4, 7~1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CFAST를 이용하여 구획실 가스연료 화재실험에 대한 디자인 화재곡선(Design fire curves, DF)의 예측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디자인 화재곡선은 이전의 연구에서 제안된 2-stage DF, Ingason이 제안한 Quadratic DF와 Exponential DF이며, 예측성능 평가를 위해 각 디자인 화재곡선을 CFAST의 입력조건으로 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결과와 실험결과의 비교를 통해 구획실 내부의 공간평균온도와 O2, CO2 농도에 대해 전반적으로 2-stage DF > Quadratic DF > Exponential DF 순으로 실험결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FAST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도 실험에서 보이는 구획실 내 개구부측과 내측에서의 온도와 O2 및 CO2 농도 차이를 예측할 수 없음을 명확히 확인하였다. 또한 CFAST는 구획실 가스연료 화재의 CO 농도와 하층부의 공간평균온도에 대한 예측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design fire curves (DF) was evaluated for gas fires in a compartment by using CFAST. The CFAST simulations adopted the 2-stage DF suggested by the previous study and the Quadratic and Exponential DF suggested by Ingason. It was found by comparing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overall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design fire cures for the spatially-averaged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s of O2 and CO2 was, from the most reasonable to the most inaccurate, 2-stage DF > Quadratic DF > Exponential DF. The CFAST simulation could not predict for the difference in the spatially-averaged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s of O2 and CO2 at door and inner side locations in a compartment. The CFAST simulations also showed a limitation in the prediction of the spatially-averaged temperature at lower layer and the concentration of CO.
목차
1. 서 론
2. 디자인 화재곡선
3. 수치계산 조건
4.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FAST를 이용한 구획실 가스화재의 디자인 화재곡선 평가
- 소방용 화학보호복 착용 현장대원의 일상 훈련용 프로토콜 설계 및 활동성 분석
- 공동주택 내 비상방송설비의 음성명료도 실태 분석 및 재실자 인지성 개선방안 연구
- 노인의료복지시설 화재 시 와상노인의 피난안전성 제고를 위한 피난허용시간 연장과 소방기관으로의 통보시간 연구
- 고온조건하에서 소방용 보호복 착용시 주기적 작업과 작업강도에 따른 신체영향
- 제조사 보정상수에 기인한 열유속계의 측정 오차
- 건식공법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화재 확산의 실험적 연구
-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 침수피해지역의 응급이송서비스 취약성 분석
- 서브파이프의 유무에 따른 워터노즐의 성능특성연구
- 피난조명 및 음성경보 기능을 내장한 화재경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장방향 복도 공간의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음압 레벨과 음성 명료도 비교
- 제연구역의 압력변화에 따른 풍량제어 배출댐퍼 개발
- 의용소방대 조직의 학술적 개념 변화
- 119 구급 신고 분석: 대화 시간 및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2 Contents
- Comparative Study on Validation of Multi-Step Chemical Reaction Model in Fire Simulation
-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n a Fully Developed Compartment Fire by Water Appli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