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방향 복도 공간의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음압 레벨과 음성 명료도 비교
이용수 10
- 영문명
- Comparison of Sound Pressure Level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t Longitudinal Corridor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정정호(Jeong-Ho Jeong) 이성찬(Sung-Cha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2 No.4, 42~4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건축음향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재실자에게 비상방송 설비에서 발생되는 비상 방송음이 명확하게 전달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방형 복도를 대상으로 NFSC 202의 기준에 따라 25m 간격으로 비상 방송용 확성기가 설치되었을 때 건축마감재료 변경에 따라 음압레벨, 음성명료도 지표를 비교분석하였다. 마감재료로 흡음특성이 낮은 재료를 적용한 경우 충분한 음압 레벨은 확보할 수 있었지만, 재실자가 비상 방송음을 알아듣기 매우 어려운 수준의 음성명료도를 보였다. 마감재료로 흡음재료를 적용함에 따라 음성 명료도, 음성 전달 지수는 재실자가 잘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재실자에게 전달되는 음압 레벨이 감소되며 같은 공간 내 레벨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흡음재료를 사용하여 음성명료도를 확보하고자 할 경우 고른 음압 레벨 분포를 확보하기 위하여 비상 방송용 확성기를 설치간격 조정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emergency broadcasting sound generated from an emergency broadcasting speaker is clearly transmitted to the occupant through architectural sound simulation, when the loudspeaker for emergency broadcasting is installed at intervals of 25 m according to NFSC 202 for a rectangular hallway. The sound pressure level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dex were analyzed according to changes in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With a reflective material finishing, sound pressure level satisfied the standard while speech intelligibility index was low.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finishing, clarity and speech transmission index was improved to a level that could be understood by the occupant, whereas the sound pressure level delivered to the occupant decreased in the same space.
목차
1. 서 론
2.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건축음향 시뮬레이션
3. 비상 방송음의 명료도 시뮬레이션
4. 비상 방송음의 음압레벨 분포
5. 토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FAST를 이용한 구획실 가스화재의 디자인 화재곡선 평가
- 소방용 화학보호복 착용 현장대원의 일상 훈련용 프로토콜 설계 및 활동성 분석
- 공동주택 내 비상방송설비의 음성명료도 실태 분석 및 재실자 인지성 개선방안 연구
- 노인의료복지시설 화재 시 와상노인의 피난안전성 제고를 위한 피난허용시간 연장과 소방기관으로의 통보시간 연구
- 고온조건하에서 소방용 보호복 착용시 주기적 작업과 작업강도에 따른 신체영향
- 제조사 보정상수에 기인한 열유속계의 측정 오차
- 건식공법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화재 확산의 실험적 연구
-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 침수피해지역의 응급이송서비스 취약성 분석
- 서브파이프의 유무에 따른 워터노즐의 성능특성연구
- 피난조명 및 음성경보 기능을 내장한 화재경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장방향 복도 공간의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음압 레벨과 음성 명료도 비교
- 제연구역의 압력변화에 따른 풍량제어 배출댐퍼 개발
- 의용소방대 조직의 학술적 개념 변화
- 119 구급 신고 분석: 대화 시간 및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2 Contents
- Comparative Study on Validation of Multi-Step Chemical Reaction Model in Fire Simulation
-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n a Fully Developed Compartment Fire by Water Appli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