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식공법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화재 확산의 실험적 연구
이용수 48
- 영문명
- An Experimental Study on Fire Spreading External Wall of Buildings Using Dry Construction Method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박정우(Jung-Woo Park) 조남욱(Nam-Wook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2 No.4, 75~8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6년 6월 영국 그렌펠 타워 화재는 외단열에 의한 수직화재확산으로 인한 대표적인 피해사례이다. 외단열 공법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기단열재는 단열성능이 좋은 반면 화재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외벽 마감재로 사용하는 외단열 공법에서 알루미늄 내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수직 화재확산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알루미늄복합패널을 외벽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재 프레임 때문에 외벽과 외벽 마감재 사이에 중공층이 형성된다. 외벽에 화재가 발생하면 가연성외벽의 연소뿐만 아니라 단열재로부터 발생된 화염이 중공층을 통해 수직으로 급격히 확산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국토교통부고시 2015-744에 의한 소재단위 성능 시험이 수행되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실제 규모의 화재시험으로 외벽의 수직화재확산 시간의 측정이 가능한 BS8414 시험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내 고시 기준으로 적합한 준불연 소재의 알루미늄복합패널을 대상으로 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실규모 외벽화재시험(BS 8414)을 수행하여 수직화재확산에 대한 거동 관찰과 현재 마감재 료의 소재단위 평가의 한계를 확인하고자 하며, 실제 규모의 화재 시험을 통한 외벽화재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 템 도입 필요성 확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Grenpell tower fire in England in June of 2016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damage caused by a vertical fire spreading through external insulation. Organic insulation materials, which are widely used in external insulation,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y have good insulation performance but are vulnerable to fire. Aluminum composite panels are used as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s, and plastics used in aluminum are regarded as the cause of vertical fire spread. Due to the steel frame used to secure the aluminum composite panel to the outer wall, a cavity is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outer wall finish. When a fire occurs on the outer wall, the flammable outer wall as well as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heat-insulating material spreads vertically through the cavity, resulting in damage to people and property. In Korea, material unit performance tests are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tice 2015 - 744. However, in the UK, the BS 8414 test is used to measure the vertical fire spreading time on the outer wall in real scale fire tests. In this study, the risk of external wall fire was evaluated in an actual fire by conducting a real scale wall fire test (BS 8414), which was carried out in Europe, using aluminum composite panels of semi-noncombustible materials suitable for current domestic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limitations of material unit evaluation of finishing materials and to confirm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system to prevent the spread of outer wall fire through an actual scale fire test.
목차
1. 서 론
2. 문헌연구
3. 시험체 제작
4. 시험결과 및 고찰
5.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FAST를 이용한 구획실 가스화재의 디자인 화재곡선 평가
- 소방용 화학보호복 착용 현장대원의 일상 훈련용 프로토콜 설계 및 활동성 분석
- 공동주택 내 비상방송설비의 음성명료도 실태 분석 및 재실자 인지성 개선방안 연구
- 노인의료복지시설 화재 시 와상노인의 피난안전성 제고를 위한 피난허용시간 연장과 소방기관으로의 통보시간 연구
- 고온조건하에서 소방용 보호복 착용시 주기적 작업과 작업강도에 따른 신체영향
- 제조사 보정상수에 기인한 열유속계의 측정 오차
- 건식공법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화재 확산의 실험적 연구
-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 침수피해지역의 응급이송서비스 취약성 분석
- 서브파이프의 유무에 따른 워터노즐의 성능특성연구
- 피난조명 및 음성경보 기능을 내장한 화재경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장방향 복도 공간의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음압 레벨과 음성 명료도 비교
- 제연구역의 압력변화에 따른 풍량제어 배출댐퍼 개발
- 의용소방대 조직의 학술적 개념 변화
- 119 구급 신고 분석: 대화 시간 및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2 Contents
- Comparative Study on Validation of Multi-Step Chemical Reaction Model in Fire Simulation
-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n a Fully Developed Compartment Fire by Water Appli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