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주 월곡 마을 고려인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위한 기초적 연구
이용수 327
- 영문명
- Goryoin’s Language Use and Language Environment : a case from Goryoin of Wolgok village in Gwangju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석주연(Suk, Ju-Yeon) 박수연(Park, Su-Yeon) 추연(Chu,-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5輯, 71~9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Goryoin refers to Korean immigrants from the former USSR who have migrated back to Korea since the year 2000. In this study, I examine the motivation of Goryoin’s Korean learning, their institution based Korean learning experiences, their overall proficiency in Korean, Russian, their birthplace language, English, ultimate proficiency level in Korean which they eager to achieve, etc. I also measure how much they want their next generation to learn Korean as heritage language. More than 70% of Goryoin subjects in the experiment estimate that their proficiency in Korean is below mid-level. In contrast, more than 90% of
Goryoin subjects in the experiment estimate that their proficiency in Russian
is above upper mid-level. Almost 70% of Goryoin report that their proficiency in birthplace language is above mid-level. Unexpectedly more than 30% of Goryoin subjects report that their proficiency in English is above mid-level. More than 85% of Goryoin in the experiment hope they would like to speak Korean just like native Korean. 97% of Goryoin want their children to learn Korean as heritage language.
목차
1. 머리말
2. 조사의 배경 및 방법
3. 조사의 실제
3.1. 조사의 과정과 요인
3.2. 조사의 내용 및 결과
3.2.1 한국어 학습 상황과 경험
3.2.2 한국어 사용의 양상과 실태
3.3.3 한국어 외 언어 능력의 수준
3.3.4. 한국어 능력에 대한 기대 수준
3.3.5 한국어의 세대 전이에 대한 인식및 태도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변동 적용 양상 연구에 관한 일고찰
- 국어과 평가의 변화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주생전>에 나타난 결핍의 서사 구성 양상과 의미
- 한․중 구개음화의 상호관련성에 대하여
- 한국어 ‘있다/없다’의 의미 확장 연구
- 삼설기본 노처녀가 의 치유 텍스트적 접근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감정적 유대를 중심으로-
-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에 대한 대중적 해석 검토
-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발화 용법을 통해 살펴본 ‘-에, -에서’에 대한 한국어 교육적 접근
- 광주 월곡 마을 고려인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위한 기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