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변동 적용 양상 연구에 관한 일고찰
이용수 531
- 영문명
- A historical consideration on Korean phonemic alternation by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박기영(Park, Kee-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5輯, 175~2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historical investigate the existing study on the applied aspect of Korean phonemic alternation. The discussion on the applied aspect of Korean phonemic alternation is hard to be based on the second language pronunciation acquisition study focused on English.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ology on the applied aspect of Korean phonemic alternation should be
confirmed through existing studies. In this paper, first of all, the list of Korean
phonemic alternation,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selection of subjects were
critically examin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list of Korean
phonemic alternation, I examined whether the “n -insertion is valid for inclusion in the study. As for the experimental data, I argued that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the phonemic alternation is learned or not, even though the phonemic alternation is applied within the word. As for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
I examined the validity of subject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proficiency and the timing of learning phonemic alternation. Second, I examin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relation to the difficulty setting of phonemic alternation. The difficulty of phonemic alternation, I divided into studies on korean learner who is chinese native speaker and other language native speaker and examined it. And then I confirmed that the difficulty of phonemic alternation has a certain tendency irrespective of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목차
1. 서론
2. 한국어 음운변동 관련 연구의 실험 방법에 대한 고찰
2.1. 음운변동 적용 양상 연구의 범위
2.2. 실험 자료의 구성
2.3. 실험 대상
3. 한국어 음운변동의 난이도
3.1. 중국어권학습자의음운변동난이도
3.2.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권에 따른 음운변동 난이도 비교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변동 적용 양상 연구에 관한 일고찰
- 국어과 평가의 변화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주생전>에 나타난 결핍의 서사 구성 양상과 의미
- 한․중 구개음화의 상호관련성에 대하여
- 한국어 ‘있다/없다’의 의미 확장 연구
- 삼설기본 노처녀가 의 치유 텍스트적 접근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감정적 유대를 중심으로-
-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에 대한 대중적 해석 검토
-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발화 용법을 통해 살펴본 ‘-에, -에서’에 대한 한국어 교육적 접근
- 광주 월곡 마을 고려인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위한 기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