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생교육사의 실천 양상과 경험학습의 변용

이용수  1,520

영문명
The Transform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from the Practices of Lifelong Educator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국혜수(Kuk, Hye-Su)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4권 제2호, 87~11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현장에서의 실천을 통해 이루어지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을 경험학습이론에 비추어 탐색하였다. 특히 현직에 있는 평생교육사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이론과 실제의 ‘간극’에 대한 해석과 이에 대해 이루어지는 실천 양상을 경험학습의 일환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론에 입각하여 주제 분석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지방자치단체 소속 평생교육 기관에서 근무하는 평생교육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평생교육사들이 실천을 전개해가는 양상은 기존 경험학습 모형의 단순한 적용이 아닌 경험학습의 변용(變容)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사들은 1) 평생교육의 이론적 지향, 2) 평생교육사의 역할, 3) 학습자에 대한 이론적 접근의 세 영역에서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인식했고, 간극을 중재 하는 이들의 실천은 영역별로 서로 다른 양상의 경험학습으로 이어졌다. 평생교육사들이 각 영역별로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어떻게 해석하는가는 경험학습이 전개되는 방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에 입각하여 본고에서는 콜브와 자비스의 경험학습 모형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한 이론과 실제의 총체성과 이론과 실제 양자를 중재하는 경험학습 주체로서 평생교육사를 부각하기 위해 “중재적 포착(interprehension)”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rofessionalization of lifelong educators through the len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 particular focus was put on how lifelong educators interpreted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lifelong education, and how they engaged in practice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s. Thematic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was used in the research, and eight lifelong educators working at municipal leve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practices of lifelong educators were not a mere application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model, but an active transformation of the previously representative models of Kolb and Jarvis. Lifelong educators recognized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he three areas of 1) theoretical orientations of lifelong education, 2) roles of lifelong educators, and 3) theoretical approaches regarding learners. Their practices to mediate the gaps in each area led to differing forms of experiential learning, respectively. How lifelong educators interpreted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was a major factor that influenced how their experiential learning unfolded. Based on such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a new concept of “interprehension” to express the totality of theory and practice in experiential learning and lifelong educators’ role to mediate the gap in between, which had not been sufficiently addressed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models of Kolb and Jarvi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요약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국혜수(Kuk, Hye-Su). (2018).평생교육사의 실천 양상과 경험학습의 변용. 평생교육학연구, 24 (2), 87-115

MLA

국혜수(Kuk, Hye-Su). "평생교육사의 실천 양상과 경험학습의 변용." 평생교육학연구, 24.2(2018): 87-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