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거 안전성을 신장하는 사회자본 형성의 기제로서 지역사회 기반 평생교육
이용수 479
- 영문명
-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as a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Enhancing Residential Safety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년(Kim, Kyun-Nyun) 강경애(Kang, Kyung Ae) 황정숙(Hwang, Jung Sook)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4권 제2호, 57~8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 평생교육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을 매개로 주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기반 형식의 평생교육 참여는 주민 간 의사소통의 준비성에 대한 공개적인 의례의 성격을 띠고 있어 주민 간 이에 대한 공유지식 형성이 사회자본 구축을 촉진할 수 있다. 지역주민들은 평생교육 참여를 통해 열린 대화를 조건화해주는 공유지식을 창출한다. 공유지식의 형성은 사회자본 구축을 촉진하고 주민 간 대화와 의사소통의 길을 열어주는 조정자 역할을 한다. 주민자치센터는 주민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을 활용하여 문화․여가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주민 간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기반 평생교육이 주민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근린주거의 주민 학습장이 주민 간 의사소통을 통한 사회자본을 향상시키며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가 주민의 문화자본을 유의미하게 신장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역사회 기반 평생교육으로 신장된 사회자본은 주민의 주거 안전성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나 문화자본의 영향을 소멸시켰다. 지역기반 평생교육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참여가 주민의 문화적 소양의 제고에 기여하지만 주민 간 상호작용을 통한 주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자본의 영향과 공유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이 실행되는 형식 즉 지역성, 주민 간 상호작용, 소속감과 같은 평생교육의 지역사회 기반성이 가지는 중요성을 확인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on local safety through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a community-based format is a public ceremony about the readiness of communication between residents. Thus, the formation of shared knowledge
among residents can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social capital. Local residents create shared knowledge that conditions open dialogue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The formation of shared knowledge among residents can act as a mediator to open the way for dialogue and communication. The residents self-governing center takes advantage of easy accessibility to residents and establishes cultural and recreational programs, allowing resident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creating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s along with conditions for interac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mplemented by the local community such as the Citizens Autonomy Center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f the residents through improved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At the same time, participation in
cultural arts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ultural capital of the resi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ocial capital expanded by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significantly improved residential security, while cultural capital had no impact on residential security. Unlike cultural capital, which is embodied in individual residents, social capital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nd the improvement of social capital affects the safety of res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