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숲을 통한 초등학교의 환경 문화 교육
이용수 35
- 영문명
-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cultural in elementary school by means of school forest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모근(Jeong Mo Geu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7권 제4호, 173~1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cently the requirement and awareness of school Personnels and students on school forest take on quite well independent and active aspects.
These aspects will make every school win more broad consensus on school forest and keep it constantly, I hope.
In school forest children contact with nature directly and to put children into practice on learning direct experience about environment and culture, the study with the following contents has been performed.
1. Education on environmen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s recomposed as contents of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culture by means of forest.
2. The contents of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culture are classified from sampling culture elements by means of forest in all curriculums of elementary schools.
3. The classified contents contain the benefits which forest and trees give humans, forest and fostering emotion, abilities to solve problems and to make opinions on forest, and awareness and value on forest.
4. By means of forest the contents of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culture are recomposed as the units of life resource, growing trees, making the good use of resource and conserving resourc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숲의 환경 문화적 접근
Ⅳ.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환경 문화 교육
Ⅴ. 숲을 통한 환경 문화 교육의 개념 및 역할
Ⅵ. 숲을 통한 환경 문화 교육 관련 단원의 선정
Ⅶ.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실과 식생활 영역 학습활동 개발 및 적용
- 실과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분석 및 평가
-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친화적 소비행태와 관련법인
- 교육대학교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요구분석
- 한국 학부모들의 미국 초등학교 교과에 대한 인식
- 초등 실과 원예교육용 CD-ROM 타이틀 컨텐츠 개발
- 학교숲을 통한 초등학교의 환경 문화 교육
- 웹기반 「초등학교 실과 사전」의 개발
- 초등 실과 모듈 수업 자료의 개발과 적용 효과
- 초등 실과에서 나무블록, 제도카드, 웹기반 공간시각화 프로그램을 활용한 3-D와 2-D의 상호비교 학습이 공간시각화능력에 미치는 효과
- 투고규정 외
-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실과 교수ㆍ학습이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