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제역 방역에 참여한 공무원의 정신건강
이용수 256
- 영문명
- Mental Health of Government Officials Participating in Foot and Mouth Disease Prevention Work - Focusing on Follow-up Study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inhee Hyun Heegu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4 No.4, 151~16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제역 방역에서 가축의 살처분과 매몰업무를 담당한 공무원의 정신건강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축의 매몰과 살처분 업무를 담당하고2011년 2월에 실시한 1차조사와 약 10개월 후에 실시한 추후조사 모두에 응답한 2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고위험군은 추후조사에서 17.2%로 나타났다.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하위영역인 회피, 침습, 과각성 증상, 우울증상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불안증상은 변화가 없었다. 둘째, 개인별 증상변화는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증상이 증가한 개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구제역 가축의 살처분과 매몰을 담당한 공무원들이 추후조사에서도 여전히 높은 수준의 정신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구제역 방역을 담당한 공무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ental health conditions and their changes over time among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involved in the burial and disposal of livestock during the foot and mouth disease epidemics. The initial study was conducted in February 2011 and the follow-up study was conducted after 10 months. The data from 29 official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both initial and follow-up study were analyzed, and 17.2% of the participants in the follow-up study were found to show a high risk of PTSD. The PTSD symptoms and its sub-domains such as avoidance, intrusion, hyper arousal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decreased but the reduc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o change was found on anxiety either in the follow-up study. In particular, more individuals increased their PTSD and anxiety symptoms in the follow-up study.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worked on the burial and disposal activities of livestock still had a high level of mental health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continuous monitoring and intervention was suggested to address mental health problems of government officials in Kore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정지 대응팀의 운영이 병원 내 심정지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 구제역 방역에 참여한 공무원의 정신건강
- 대통령 탄핵위기 및 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미디어 인식 비교
- A Study o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Air Environment in Response to Residential Environment Crisis
- South Asia’s Precarious Rivalry
- 경찰지구대의 치안서비스가 시민의 안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폭염 재난약자 보호를 위한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 방안
- 수해 현장에서의 폐기물 관리 실태
- 국내 물 수요에 대한 에너지 및 식량 공급의 영향력 검증
- 한국군 장병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The Influence of Indigenous Cultural Factors on Conflict Resolu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