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군 장병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1
- 영문명
-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Korean Soldier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Byung Kyu Jin Hyo S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4 No.4, 133~1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군 장병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를 살펴보고,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변인분석을 통해 다문화 병영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로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연구를 통해 개발된 KMCI 진단도구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군 장병 전체의 다문화 수용성지수가 일반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지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지수는 계급과 학력에서 일반 국민과 한국군 장병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다문화와 관련된 변인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의 차이에서 하위 영역별로 모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근거로 한국군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영역별 장점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교육대상을 계층별로 차별화된 교육정책을 마련하며, 다문화 교육기회 확대와 단계적 접근이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Korean soldi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design a policy for multicultural barracks. This study analyzes the variables potentially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nce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CI (KMCI).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multicultural acceptance index among Korean soldiers i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itizens in Korea. Second,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index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Korean soldiers in class and education. Third, the differenc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domain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연구의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정지 대응팀의 운영이 병원 내 심정지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 구제역 방역에 참여한 공무원의 정신건강
- 대통령 탄핵위기 및 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미디어 인식 비교
- A Study o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Air Environment in Response to Residential Environment Crisis
- South Asia’s Precarious Rivalry
- 경찰지구대의 치안서비스가 시민의 안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폭염 재난약자 보호를 위한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 방안
- 수해 현장에서의 폐기물 관리 실태
- 국내 물 수요에 대한 에너지 및 식량 공급의 영향력 검증
- 한국군 장병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The Influence of Indigenous Cultural Factors on Conflict Resolu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