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Air Environment in Response to Residential Environment Crisis
이용수 47
- 영문명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eol A Kwon Seung Hyeon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4 No.4, 27~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친환경적 도시대기환경을 위한 도시계획 제안연구로서 유사한 지형을 띄고, 지리적으로도 인접하지만 대기환경은 차이가 있는 대전시와 청주시의 지형요인, 도시특성요인, 대기요인을 토대로 비교분석해 보았다. 2016년 기준 미세먼지농도 상위 10일간 공기의 흐름을 비교분석한 결과청주시는 대전시보다 미세먼지농도 상위 10일간 대기의 흐름이 정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분지형 도시중심에 공업단지가 위치해있어, 외부의 미세먼지와 도심의 미세먼지가 지형적 영향으로대기가 순환하지 못하고 정체되어, 대기의 오염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친환경적 도시대기환경 개발을 위한 공기 흐름 유도에 대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찬 공기 생성지역으로서 도시외곽의 자연지역, 도시 내의 대규모 녹지대 그리고 충분한 면적을 가진 수공간 지역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찬 공기를 축적할 수 있는 지역이 필요하다. 셋째, 공기의 흐름이가능한 통로지역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Daejeon and Cheongju City which are geographically adjacent and have similar topography but different air environment in order to suggest an urban planning framework for environmentally-friendly urban air environment. It is found that the Cheongju City has a higher level of air pollution than Daejeon since the industrial complex is located in the downtown basin and thus high fine dust concentration is not circulated well. The suggested alternatives for inducing air flow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air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natural areas in urban outskirts, large green zones inside the city, and sufficient pond area as they are creating cold air. Second, there is a need of areas to accumulate cold air. Third, it would need a passage area allowing air flow.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discussion
Ⅲ. Research design
Ⅳ. Analysis result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정지 대응팀의 운영이 병원 내 심정지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 구제역 방역에 참여한 공무원의 정신건강
- 대통령 탄핵위기 및 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미디어 인식 비교
- A Study o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Air Environment in Response to Residential Environment Crisis
- South Asia’s Precarious Rivalry
- 경찰지구대의 치안서비스가 시민의 안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폭염 재난약자 보호를 위한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 방안
- 수해 현장에서의 폐기물 관리 실태
- 국내 물 수요에 대한 에너지 및 식량 공급의 영향력 검증
- 한국군 장병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The Influence of Indigenous Cultural Factors on Conflict Resolu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