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귀농·귀촌인의 농촌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506

영문명
Determinants of Rural Migrants’ Life Satisfaction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김경호(KIM, Kyungho) 정성호(CHUNG, Sungho)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19권 제1호, 5~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귀농·귀촌인의 성공적인 정착은 이주 후 적응 과정에서 노력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서 농촌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들과 농촌 생활만족도를 분석하는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귀농·귀촌인의 농촌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향후 귀농·귀촌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귀농·귀촌인의 사회경제적 변인들과 함께 마을주민과의 관계 및 지역사회 활동이 농촌 생활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귀농·귀촌인의 사회경제적 변수 중 소득만 농촌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귀농·귀촌에서 소득이 농촌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귀농·귀촌인들에 대한 사후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을 주민과의 관계 및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등을 포함한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농촌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마을 주민과의 관계와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이 귀농·귀촌인들의 초기 정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역귀농·귀촌 가능성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urban to rural migration increased around in the late 1990s in Korea. The urban to rural migration is important in terms of providing the vitality and securing the supply of farm labor in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rban to rural migrants’ socioeconomic variable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on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rural area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and 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the rural migrants and 108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bivariate analysis shows that most of migrants’ socioeconomic variables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ural life satisfaction. However, rural migrants’ community participation have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rural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also show that rural migrants’ community participation still affects rural life satisfaction while most of socioeconomic factors does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rural migrants’ community particip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migrants’ successive settlement and to reduce re-migration rate to city. In addition, community participation is expected to improve the social capital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s.

목차

I. 머리말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호(KIM, Kyungho),정성호(CHUNG, Sungho). (2018).귀농·귀촌인의 농촌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학, 19 (1), 5-26

MLA

김경호(KIM, Kyungho),정성호(CHUNG, Sungho). "귀농·귀촌인의 농촌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학, 19.1(2018): 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