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의식의 변화와 이념 성향의 판별:

이용수  133

영문명
Changing Social Consciousness and Discriminating Ideological Orientation:Social Surveys in Jinju City from 2010 to 2017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최태룡(Choi, Tae Ryong)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19권 제1호, 63~10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진주시민들을 대상으로 진보-보수의 자기정체화와 진보-보수와 관련된 27개 쟁점들에 대한 평가를 조사하였다. 이념적 자기정체화와 관련하여서 항상 가장 다수를 차지하는 집단은 중도 집단이지만, 대체로 진보보다 보수로 규정하는 비율이 더 많다. 하지만 27개의 개별적인 쟁 점들에 대해서는 대체로 진보적인 입장을 보이는 경우가 더 많다. 여러 쟁점들에 있어서 시기별로 큰 차이는 없지만, 북한과 관련된 쟁점에서는 보수적인 입장이 더 많아졌고, 반면에 성평등적인 경향도 더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 27개 쟁점들 대부분에 있어 이념적 자기정체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특히 공무원 노조설립, 노동자파업권, 국가보안법, 혼전성관계 등의 쟁점이 가장뚜렷한 판별 쟁점이며, 이 네 변수로 구성한 이념성향지수가 이념 성향을 구분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응답자들은 일관된 진보-보수의 응답 행태를 보이지 않는데, 이를 이해하는데는 이중개념주의가 유용하다.

영문 초록

I have conducted seven serial social surveys on the self identification of ideological orientation and 27 issues about progressive-conservative continuum for Jinju-si residents during the year 2010 to 2017. There are usually more conservative respondents than progressive ones, but overall the predominant share goes to the middle people. But on specific issues, respondents have shown more progressive inclination. It is not easy to find a serially consistent trend on most issues, but on some issues about North Korea respondents have become more conservative, and gender equalitarianism is shown to get more accepted. I can fin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on most of the surveyed issues among different ideological orientation groups. Especially four issues including civil servants union formation, labors’ right to strike, abolition of national security law and premarital sex are the most effective issues to discriminate ideological orientation, and are utilized to construct a efficient ideology-orientation index. People have shown inconsistent response patterns on various issues, so the concept of biconceptualism may be useful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목차

I. 들어가면서
II. 관련된 몇 가지 논의들
III. 조사방법
IV. 진보/보수 쟁점들에 대한 평가
V. 이념성향지수의 구성과 이중개념주의
VI.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태룡(Choi, Tae Ryong). (2018).사회의식의 변화와 이념 성향의 판별:. 지역사회학, 19 (1), 63-102

MLA

최태룡(Choi, Tae Ryong). "사회의식의 변화와 이념 성향의 판별:." 지역사회학, 19.1(2018): 6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