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여가행동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93
- 영문명
-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Analyzing Effects on the Leisure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이양수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13권 제1호, 107~1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GSS(ISSP) 2007년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여가행위의 경로를 분석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여가행동 경로모형의 가설을 설정하고 각각의 잠재변인인 여가태도,여가효능감, 여가행위통제요인, 여가의도 및 실제여가행동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연구결과 나타난 흥미로운 결과는 여가와 관련된 긍정적 태도가 여가의도를 통해 여가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단순한 여가 태도보다는 여가활동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보다 강한 여가의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가제약이 강할수록 여가에 대한 의지는 강한 반면, 실제 여가활동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인간행동을 분석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여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제약요인을 개인이 통제하지 못하면 여가의도를 통해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실과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제시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여가제약요인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과 관심이 제도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양질의 여가활동을 유도하고, 지역실정에 맞는 여가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주민의 여가복지 향상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II. 이론적 배경 3
1. 계획적 행위이론 3
2. 여가행동 4
3. 기존문헌 연구 6
III. 연구방법 및 분석틀 8
1. 연구방법 8
2. 연구모형 8
3. 잠재변인의 측정 9
4. 연구가설 11
IV. 연구결과 12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2
2. 측정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AMOS의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13
3. 모형분석결과 및 가설검증 15
V. 결론 및 제언 19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여가행동 영향요인 분석
- Problematising the creative industries discourse : from a perspective of cultural market and creative labour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통한 콘텐츠 이용 활성화 사례 연구 : 서태지 8집의 미싱태지(Missing Taiji)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Mission flexibility for public cultural halls looking at the realities of baumol and bowen s theory and the activities of kansai s two major prefectural cultural halls
-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인터넷과 소비자사회화
- 문화관광을 통한 창조적 농촌가꾸기 전략 : 일본 나가노현(長野縣) 오부세마치(小布施町)를 중심으로
- TV광고에 표현된 애니메이션 캐릭터 분석
- 문화기술의 정책담론 형성과 제도화 과정에 관한 연구
- 행복지수와 사회문화적 분석
- 문화기업가의 기업가정신이 사업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