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roblematising the creative industries discourse : from a perspective of cultural market and creative labour
이용수 1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Hye-Kyung Lee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13권 제1호, 3~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t has been more than ten years since the UK government put forward the creative industries discourse. Nonetheless, the notion of creative industries is still called into question, and the ambiguity and confusion around its definition and boundary triggers debates. The UK government’s policy for employment in the creative industries tended to focus on mapping of the industries’ job potential and facilitating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It was not until the last couple of years that we saw the emergence of a policy to instantly boost jobs in these industries. However, the paper argues that the policies should give more consider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market and the nature of cultural work. It is because inputs of cultural labour are not always congruent with market demand for culture and are often sustained by poorly paid, precarious work conditions.
목차
I. New settlement between culture and economy 2
II. Creative industries: definitions and boundaries 3
III. Job generation impacts of creative industries 6
IV. Creative labour from the cultural market perspective 9
V. Creative labour as a new precarity 13
VI. Conclusion 15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여가행동 영향요인 분석
- Problematising the creative industries discourse : from a perspective of cultural market and creative labour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통한 콘텐츠 이용 활성화 사례 연구 : 서태지 8집의 미싱태지(Missing Taiji)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Mission flexibility for public cultural halls looking at the realities of baumol and bowen s theory and the activities of kansai s two major prefectural cultural halls
-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인터넷과 소비자사회화
- 문화관광을 통한 창조적 농촌가꾸기 전략 : 일본 나가노현(長野縣) 오부세마치(小布施町)를 중심으로
- TV광고에 표현된 애니메이션 캐릭터 분석
- 문화기술의 정책담론 형성과 제도화 과정에 관한 연구
- 행복지수와 사회문화적 분석
- 문화기업가의 기업가정신이 사업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