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통사고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 피해 회복방안

이용수  180

영문명
Practical Victim Compensation for Traffic Accident Victim
발행기관
한국테러학회
저자명
김균태(Kim, Kyun Tae) 최응렬(Choi, Eung Ryul)
간행물 정보
『한국테러학회보』제10권 제1호, 168~189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은 업무상과실 또는 중대한 과실로 교통사고를 일으킨 운전자에 관한 형사처벌 등의 특례를 정함으로써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의 신속한 회복을 촉진하고 국민생활의 편익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피해자보다는 교통사고 차량의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 특히,「교통사고처리 특례법」제4조 제1항 단서에서는 피해자가 신체의 상해로 인하여 생명에 대한 위험이 발생하거나 불구ㆍ불치ㆍ난치의 질병이 생긴 경우에 공소를 제기할 수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중상해(불구, 난치 등)의 경계에 있는 상해의 경우 교통사고피해자는 심각한 분노와 우울 등 엄청난 경제적ㆍ정신적(심리적) 피해에도 불구하고 소를제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교통사고처리 특례법」의 적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해에 대하여 적정한 물질적ㆍ정신적 피해를 보상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강구하고자 회복적 사법이론을 기반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심리적 보상과 정신적ㆍ심리적 피해비용의 개념 등과 함께「교통사고처리특례법」특례조항의 문제점과 중상해의 기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현실적인 의학적 준거의 틀을 기반으로 한 중상해의 기준을 제시하고, 검찰과 같이 공중보건의를 경찰관서에 배치하여 의사의 판단을 통해 신뢰도를 제고하며, 교통사고 피해액 산정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과 교통사고조사 경찰관의 피해자 중심 사고처리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통사고 피해자, 특히 중상해 등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하는 피해자에 대한 면접 등 심층적인 연구를 실시하지는 못했다는 점에서는 그 한계가 있으나 우리 주변에서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교통사고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대응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aims for rapid recovery of traffic accident victims and enact special rules for offenders, allowing fast processing of traffic accidents and improve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However, in reality, this Act has been perceived to provide protection for drivers in traffic accidents rather than the victims, and is operated as such. In particular, in The Act of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Article 4 Clause 1, it is stipulated that serious injury(disability) and any injury on a similar level leads to traffic accident victims suffer from extreme rage, depression, economic losses, mental(psychological) victi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Act of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 seek recuperation measures for extreme, physical and mental victimizat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is ‘Restorative Justice’. To this end, along with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and mental victimization cost, the problem of special case clause and the standard of serious injury was also reviewed. To resolve these issues, standard of serious injury should be based on reality and medical science. The police department, along with prosecutors, should establish public health personnel who can give reliable assessments. There should be clear-cut standards on calculating traffic accident compensation fees. Another recommendation is a victim-oriented approach to resolving traffic accidents by a 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offic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at traffic accident victim, seriously injured in particular, has not been interviewed more a detailed analysis. Traffic accidents occur aground us very oft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s provides an overall direction in alternative perspective and policy measures.

목차

Ⅰ. 서론
Ⅱ. 교통사고의 정의 및 발생 현황
Ⅲ. 이론적 배경
Ⅳ.「교통사고처리 특례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균태(Kim, Kyun Tae),최응렬(Choi, Eung Ryul). (2017).교통사고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 피해 회복방안. 한국테러학회보, 10 (1), 168-189

MLA

김균태(Kim, Kyun Tae),최응렬(Choi, Eung Ryul). "교통사고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 피해 회복방안." 한국테러학회보, 10.1(2017): 168-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