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부 투명성과 정부신뢰와의 관계:
이용수 324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arency and trust in government: Focusing on policy implication promoting trust in police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박윤환(Park, Yoonhwan)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0권 제1호, 145~1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보의 은폐 및 공개 수준에 대한 인식을 투명성의 측정 지표로 활용하여 정부투명성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투명성과 정부신뢰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분석할 때 야기되는 내생성의 문제를 통제한 분석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정부신뢰의 주요 영향 요인들 중 신뢰 요인, 정부능력 요인, 정치·경제 환경 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투명성 요인은 정부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서 투명성의 제고가 정부신뢰를 향상시키는 긍정적 요소라는 일부 선행 연구를 지지하였다. 아울러 경찰조직에서도 행정정보 공개를 위한 물리적 시스템 구축의 노력과 함께 정보를 보다 더 투명하게 제공하려는 행태를 수립하는 것이 경찰신뢰 향상을 위해서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ransparency on trust in government by utilizing the perception about the level of openness or concealment as a transparency index. In addition, the present paper suggested analytic model controlling the endogeneity issues due to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ansparency and trust in government. According to results, trust factor, governmental capacity factor, and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ransparency factor appears to positively affect trust in government,
so this finding supports some prior research claiming that greater transparency would lead to higher trust in government. Consequently, in terms of promoting trust in police, a series of empirical evidences of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not only make an effort to construct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but also establish more transparent behavior for information disclos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