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영작문 불안과 영어학습 간접 전략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4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은형(Cho, Eunhyung)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7권 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n English class, which a specially designed cooperative English writing activity was applied, on learners’ English writing anxiety and the use of language learning indirect strategy. The main purpose of the designed English writing activity was to explore learners’ perspectives toward English writing when they performed English writing activity through the cooperative work.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pre and post experimental tests for 150 college students, the designed English writing activity through the cooperative work show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English anxiety of the subjects and the frequency and the use of English learning indirect strategy of the subjects, especially of the group of less-proficient English learners in contrast with those of the group of more-proficient English learn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signed English writing activity through the cooperative work could lessen the English anxiety of learners and promote the use of English learning indirect strateg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입력 중심과 출력 중심 형태초점 접근법이 중학생 영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영작문 불안과 영어학습 간접 전략에 미치는 효과
- EFL Learn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Value of University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s
- 고등학교 영어 교사의 영어 말하기 교수학습 및수행평가 실태 조사 연구
- 중학생의 영어 쓰기 영역 학업성취 특성 분석: 201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Use of Bilingual Dictionary and Machine Translation on EF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한국 EFL 대학생의 외국어불안감 및자각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의지간의 관련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