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s of the Use of Bilingual Dictionary and Machine Translation on EF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이용수 28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Na-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7권 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nd machine translation on Korean EFL students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proficiency. Participants in the present study were 44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third- or fourth-year students who enrolled in an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class.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bilingual dictionary group (n=24) and machine translation group (n=20), all participants engaged in the 16-week experiment.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wo different tools, pre- and post-tests were performed based on ACTFL tests. A perception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explore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For data analysis, paired samples t-tests were administer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est scores. Independent t-tests were run to compare the group difference. Findings indicate that participants in both the bilingual dictionary and machine translation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speaking and writing proficiency. No 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indicating that the two tools are equally effective for EFL learning.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 bilingual dictionary group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than the machine translation group.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made at the end.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
IV. RESULTS AND DISCUSSION
V. CONCLUSION AND IMPLIC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입력 중심과 출력 중심 형태초점 접근법이 중학생 영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영작문 불안과 영어학습 간접 전략에 미치는 효과
- EFL Learn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Value of University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s
- 고등학교 영어 교사의 영어 말하기 교수학습 및수행평가 실태 조사 연구
- 중학생의 영어 쓰기 영역 학업성취 특성 분석: 201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Use of Bilingual Dictionary and Machine Translation on EF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한국 EFL 대학생의 외국어불안감 및자각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의지간의 관련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