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Academic Self Concept and Parent s Emotional Invol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욱(Kim Hyun w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2권 3호, 91~1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과 학생 의 학업자아개념의 종단적 자기회귀 효과 및 상호인과관계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 과, 학생의 학업자아개념과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은 모두 높은 자기회귀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학업자아개념이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에 미치는 영향력은 거 의 없었고,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은 학생의 학업자아개념에 점차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즉, 학생이 어떠한 학업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이 이루어 진다기 보다는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에 따라 학생의 학업자아 개념이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자녀가 학업에 대해 어떠한 태도와 가치관 을 가지고 있는지 부모가 충분히 이해한 이후에 정서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부모의 정서적 지원이 다른 외부요인이나 부모가 가진 기본적인 양육관 등 에 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에 따라 이후의 학업자아 개념이 좌우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결과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about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 emotional involvement in education and student s academic self concept by using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Education data collected from 2005 to 2010. Base on the selected data,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 : First, both parent s emotional involvement and student s academic self concept have highly autoregressive effects. Second, student s academic self concept has low effect on the parent s forward emotional involvement. But parent s emotional involvement has high effect on the student s forward academic self concept. Therefore parent s emotional involvement in education is influential variable on the academic self concept of student. As based on this results, if we want more positive academic self concept of student, we need elaborate research and study to support parent s emotional involvement i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한국과 타이완의 초등 사회과 교육 비교 연구
- 초등 국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성공적 소통 조건
- 교사들의 영성을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
- 교육과정의 자율화에 관한 사례 연구
- 부모의 사회적 지원 수준에 따른 6학년 여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실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개념과 개념 생태 분석
-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법적 성격 고찰
- PCK의 측면에서 본 초등 국어교과서 어휘 교육 내용의 활동 구성 검토
- 백워드 교육모형의 체육과 적용 가능성 탐색
-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과 학업자아개념의 자기회귀 교차지연효과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 동기, 창의적 성향 간의 구조적 관계
- 초․중등 교사의 인구교육 실천 양상과 과제
- 학부모참여와 학교만족도의 관계
- 인성교육의 윤리학적 기초로서의 덕윤리
- 교사 공동체가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미치는 영향
- 학습의 재미에 대한 개념적 탐색을 통한 재미발생구조 도출
- ‘Romey 기법’*에 의한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내용 분석
- 예비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
- 학교상담자의 자문 관계에서의 윤리 문제와 해결
- 초등교사의 교실 수업 통합 설계 사례
- 교육내용 조직에서 본 수업시수 집중편성의 가능성 탐색
-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교육의 내재적 가치회복을 위한 문학 읽기 기반 자기생산적 교육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
- 인성 교육을 위한 도덕 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방향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초·중·고교 교원 보수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