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rections in Teacher Education for Spirituality of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성혜(Park Sung h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2권 3호, 155~17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의 영성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의 방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에서 영성의 개념, 교사들의 영성을 위한 교사 교 육의 목표와 방안을 논하였다. 영성이란 종교성을 포함한 인간 본성으로, 초월성, 연 결성, 전인성, 정의 실현의 특성을 갖는다. 영성이 교육에서 중요한 이유는 학습자들 로 하여금 학습내용과 삶과의 상호연관성을 깨닫게 해주고, 전인적인 삶, 실존적인 삶, 진정한 삶, 정의로운 삶을 추구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교사의 영성을 위한 교사 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이 개발되었다. 이들은 서로 분리된 목표가 아니라 서 로 영향을 주는 연관된 목표들이다. 첫째, 현존하는 문화를 비판하고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의식의 변환, 둘째, 생태주의 세계관과 공동체를 위한 교육, 셋째, 삶의 모든 면을 위한 전인 교육, 넷째, 배려, 긍휼, 정의를 위한 윤리 교육이다. 명상 활동, 봉사 학습, 비판적 반성과 영적 반성을 할 수 있는 교사 교육과정이 교사들의 영성을 위한 유력한 방법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와 교사들이 존재론적인 정체성을 확인하고, 교육에 책임과 헌신을 다하며, 교직에 대한 소명의식을 찾을 수 있기를 기 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directions towards teacher education for spirituality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in education, the goals and directions in teacher education for teachers spirituality. Spirituality embraces religiosity and is characterized with transcendence, connection, wholeness, and justice-making. The significance of spirituality in education is that spirituality encourages learners to realize the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among themselves, teachers, and academic courses, and pursuit holistic, existential, and authentic life. The goals of teacher education for teachers spirituality are developed.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ecological worldview and community education, whole-child education, and ethical education are mutually beneficial and integrated goals. The way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spirituality of teachers are formulated. These are meditation, service learning, critical reflection, and spiritual reflection. Through this process, teachers are expected to find their existential identities, be fostered with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to education and awaken the calling as teachers.
목차
I. 서론
Ⅱ. 교육에서 영성의 개념과 특성
Ⅲ. 교사의 영성을 위한 교사 교육의 목표
Ⅳ. 교사의 영성을 위한 교사 교육의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한국과 타이완의 초등 사회과 교육 비교 연구
- 초등 국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성공적 소통 조건
- 교사들의 영성을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
- 교육과정의 자율화에 관한 사례 연구
- 부모의 사회적 지원 수준에 따른 6학년 여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실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개념과 개념 생태 분석
-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법적 성격 고찰
- PCK의 측면에서 본 초등 국어교과서 어휘 교육 내용의 활동 구성 검토
- 백워드 교육모형의 체육과 적용 가능성 탐색
-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과 학업자아개념의 자기회귀 교차지연효과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 동기, 창의적 성향 간의 구조적 관계
- 초․중등 교사의 인구교육 실천 양상과 과제
- 학부모참여와 학교만족도의 관계
- 인성교육의 윤리학적 기초로서의 덕윤리
- 교사 공동체가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미치는 영향
- 학습의 재미에 대한 개념적 탐색을 통한 재미발생구조 도출
- ‘Romey 기법’*에 의한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내용 분석
- 예비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
- 학교상담자의 자문 관계에서의 윤리 문제와 해결
- 초등교사의 교실 수업 통합 설계 사례
- 교육내용 조직에서 본 수업시수 집중편성의 가능성 탐색
-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교육의 내재적 가치회복을 위한 문학 읽기 기반 자기생산적 교육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
- 인성 교육을 위한 도덕 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방향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연쇄적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한 학습전략 사용 및 효과 판단의 착각현상 분석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K대학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일상 속 인성덕목을 반영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