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료피드백에서의 면대면 논의 과정 분석:
이용수 95
- 영문명
- Study of Peer Talk in Peer Feedback: In Writing Lesson Pla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성지훈(Sung, JiHoon) 정영숙(Jung, Young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1호, 419~44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계획안에 대한 동료피드백 활동에서 서면 피드백과 함께 면대면 논의가 실시된 경우에 초점을 맞추어, 면대면 논의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고, 동료피드백에서의 효과적인 면대면 논의 활동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 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19명을 대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과정 가운데 면대면 논의를 포함한 동료피드백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이들이 작성한 교육계획안 초안 및 수정안, 동료피드백 활용 보고서, 설문지를 수집·분석하
였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필요한 질문 사항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피드백에서 이루어진 면대면 논의의 효과를 높게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대면 논의가 포함된 동료피드백 활동의 주요 특징으로 동료학습자간 피드백 내용에 대한 상호이해 향상, 배움의 기회 증대, 학습자들의 정
서적 부담감 가중, 많은 시간 소요, 심도있는 논의 진행 부족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시간 효율적인 논의 과정 운영, 동료 평가자로서 느끼는 정서적 부담 감소, 배움의 기회 확장, 교수자의 적절한 개입 등이 동료피드백에서의 효과적인 면대면
논의를 위한 전략으로 제시되었으며, 관련된 세부적인 방안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 게임중독 상담 모형 개발
- 학교 텃밭의 교양 농업 교육 적용 사례 분석과 교육 효과 탐색
- 팀기반 학습에서 평가대상과 평가주체가 학습자의 수업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이황의 한시를 통한 대인적 가치 교육 연구
- 읽기 저성취 아동의 읽기이해점검과 읽기이해와의 관계 분석
-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둑놀이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 2009개정교육과정용 실과 교과서의 농업 교육 소재 비교 분석
- C. Fr. Zelter의 리트창작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에 기반한 실과 재배교육의 현장 적합성 실천 전략
- 안구 추적 시스템을 활용한 읽기 과정에 나타난 독자의 성별 차이 연구
- 주요국의 교권 보호 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
-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 멘토링이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과 멘토링 운영 방안 고찰
- 교육과정 개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AI(Appreciative Inquiry)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침 개발 연구
- 아웃라이어의 성공 법칙:
- ESD 관점을 통한 초등학교 세계유산교육의 접근 가능성 탐구
-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 동료피드백에서의 면대면 논의 과정 분석:
- 음악 감상을 통한 동작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 대상 체험학습 국내 연구동향 분석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전담강사의 학교생활 경험과 적응행동:
- 문·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방향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