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에 기반한 실과 재배교육의 현장 적합성 실천 전략
이용수 168
- 영문명
- Classroom-friendly implementation strategy of agricultural education based on project method in practical ar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인규(Go, In-G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1호, 333~3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재배 교육에 대한 현장 적합성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재배 교육의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자는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장기간에 걸쳐, 노동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재배 활동의 특성상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으로 구성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교수․학습방법은 각 단계별 절차가 존재하는데 이 절차에 따라 재배 교육의 내용을 세분화하면 누구나 쉽게 재배 활동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문에 프로젝트 교수․학
습에 기반한 재배교육은 그것의 현장 적합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매우 적절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실천 전략은 목적설정, 계획, 실행, 평가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프로젝트 교수․학
습 방법에 따른 것으로 각 단계별 세부 내용은 다른 프로젝트 모형의 활동 내용을 참고하여 현장 적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새롭게 구성하였다. 프로젝트 교수․학습에 기반한 재배 교육 실천 전략은 재배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행 의지를 높
이는 한편 그동안 재배교육의 주요 교육적 가치로 여겨져 왔던 인성함양의 차원을 넘어, 자율, 자주, 주체성을 기르는 민주시민 교육으로서의 새로운 가치를 재배 교육에 더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t proposed the classroom-friendly implementation strategy as a means to improve the teacher’s efficiency and performance. The researcher’s proposed project method of classroom friendly implementation aims to improve agricultural education because currently agricultural education is labor-intensive and requires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ject method proposes a four part training process. When divided this way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become more accessible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 training process will also make teaching the activities of agricultural education easier and more efficient.
In this study, The classroom-friendly training process consists of four parts: the purposing stage, the planning stage, the execution stage, and the evaluation stage. Its basic procedure is modeled after the project method in the 2009 Practical Arts’s curriculum. The details of its procedure have been developed with reference to the activities of other project method models.
Through this, the project method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classroom-friendly implementation of agricultural education. Another effect of it is to develop an autonomous and self-identity beyond develop the personality. Because the effect of agr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 게임중독 상담 모형 개발
- 학교 텃밭의 교양 농업 교육 적용 사례 분석과 교육 효과 탐색
- 팀기반 학습에서 평가대상과 평가주체가 학습자의 수업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이황의 한시를 통한 대인적 가치 교육 연구
- 읽기 저성취 아동의 읽기이해점검과 읽기이해와의 관계 분석
-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둑놀이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 2009개정교육과정용 실과 교과서의 농업 교육 소재 비교 분석
- C. Fr. Zelter의 리트창작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에 기반한 실과 재배교육의 현장 적합성 실천 전략
- 안구 추적 시스템을 활용한 읽기 과정에 나타난 독자의 성별 차이 연구
- 주요국의 교권 보호 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
-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 멘토링이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과 멘토링 운영 방안 고찰
- 교육과정 개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AI(Appreciative Inquiry)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침 개발 연구
- 아웃라이어의 성공 법칙:
- ESD 관점을 통한 초등학교 세계유산교육의 접근 가능성 탐구
-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 동료피드백에서의 면대면 논의 과정 분석:
- 음악 감상을 통한 동작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 대상 체험학습 국내 연구동향 분석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전담강사의 학교생활 경험과 적응행동:
- 문·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방향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각장애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2020년~2024년‘시각장애연구’발행호를 중심으로)
- 오케스트라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