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 저성취 아동의 읽기이해점검과 읽기이해와의 관계 분석
이용수 598
- 영문명
- The Relation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low achiev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선(Kim, Kyoungs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1호, 221~2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읽기 저성취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읽기이해점검 능력을 비교하고,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작업기억이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고도 읽기전략이 읽기이해를 독립적으로 설명하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 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저성취 학생 86명, 일반 학생 205명) 291명이며,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이해점검 검사, 읽기유창성 검사, 어휘 검사, 작업기억 검사, 및 읽기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저성취 아동은 읽기이해점검력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저성취 아동의 읽기이해점검 총점 및 내적비일관성 파악과제는 읽기이해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어휘비일관성 과제는 읽기이해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읽기이해점검은 작업기억과 읽기이해의 기초기술인 읽기유창성 및 어휘지식의 읽기이해에 대한 영향력을 통제하고도 읽기이해를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for low achieving students. A total of 291 students(86 low achieving students and 205 normally develop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reading ability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monitoring, fluency, vocabulary, working mem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Result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all measures.
Furthermore, the comprehension monitoring predicted unique vari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after reading fluency, vocabulary, and working memory capacity had been taken into account. Implications for practice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 게임중독 상담 모형 개발
- 학교 텃밭의 교양 농업 교육 적용 사례 분석과 교육 효과 탐색
- 팀기반 학습에서 평가대상과 평가주체가 학습자의 수업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이황의 한시를 통한 대인적 가치 교육 연구
- 읽기 저성취 아동의 읽기이해점검과 읽기이해와의 관계 분석
-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둑놀이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 2009개정교육과정용 실과 교과서의 농업 교육 소재 비교 분석
- C. Fr. Zelter의 리트창작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에 기반한 실과 재배교육의 현장 적합성 실천 전략
- 안구 추적 시스템을 활용한 읽기 과정에 나타난 독자의 성별 차이 연구
- 주요국의 교권 보호 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
-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 멘토링이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과 멘토링 운영 방안 고찰
- 교육과정 개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AI(Appreciative Inquiry)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침 개발 연구
- 아웃라이어의 성공 법칙:
- ESD 관점을 통한 초등학교 세계유산교육의 접근 가능성 탐구
-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 동료피드백에서의 면대면 논의 과정 분석:
- 음악 감상을 통한 동작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 대상 체험학습 국내 연구동향 분석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전담강사의 학교생활 경험과 적응행동:
- 문·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방향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