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inese Consumers’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for Overseas Direct Online Shopping for Made in Korea Product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신태용(Xin, Tairong) 왕청(Wang, Jing) 이천천(Li, Qianqian) 이나(Li, Na) 유현정(Yoo, Hyun Ju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1권 제2호, 155~17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ue to distrust in Chinese products, more and more Chinese consumers are turning to “Overseas direct purchases.” According to statements by the e-commerce payment company Paypal, the number of direct purchases by Chinese citizens reached 18 million in 2013, increasing from USD 2 billion to USD 35.2 billion. It is estimated that in 2018, about 36 million people will purchase goods directly from overseas, adding up to about USD 165 bill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would cause Chinese consumers to re-purchase Korean products.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50 Chinese consumers from July 1, 2015, through July 6, 2015, and used SPSS Windows 18.0 to analyze the data through descriptive-stat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direct purchases, pleasure, and usefulness have a positive association with overseas direct purchase satisfaction. Second, direct purchase, pleasure, usefulness, and subjective scal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ntent of re-purchase of products from oversea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first, that in order to capture the direct purchase market in China, production and sales businesses and distribution companies in South Korea should strive to excel in providing greater convenience, avoiding delivery delays and loss of goods etc. Second, Chinese customers who directly purchase South Korean goods are not only pragmatists who buy cheap goods but also seek pleasure through making direct purchases from abroad. Third, enterprises related to overseas direct purchas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word of mouth.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급식에서 채식의 날 운영에 대한 찬반에 따른 중학생의 채소 메뉴 기호도 및 채식의 날 인식
- 가족행복과 관련된 요인의 연령별 분석
- 일본 식생활교육정책(食育政策)의 현황 분석
- 중국패션시장에서의 스타광고효과: 한류스타와 중국스타의 비교
- 2010-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기반한 충북지역 주민의 영양소 섭취실태
- 그린 리모델링에 대한 인식과 방향에 대한 고찰
- 새가구를 도입한 거주공간의 실내공기질 분석
- 대추분말을 첨가한 카스텔라의 품질특성
- 중국소비자의 한국상품직구에 대한 만족도와 재구매의도
- 업사이클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분석 - 래코드(RE;CODE)를 중심으로 -
- 패션브랜드의 모바일 쿠폰이용에 관한 연구
- 노인돌봄서비스 인력의 일자리 질: FGI방법 적용
- 대학가 주변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풀옵션 가구디자인 개선을 위한 유형별 실태조사
- 농축산물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지식과 추가지불의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