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reen Remodeling Trends and Green Modeling Housing Consciousnes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태경(Lee, Taekyung) 김미진(Kim, Mijin) 변현미(Byun, Hyunmi)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1권 제2호, 135~14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cent international focus on the environment has resulted in eco-friendly “green buildings” emerg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Green remodeling has been used in South Korea to address the energy crisis and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government aim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pushing for green renovation that improves buildings’ energy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about green remodeling and suggest trends in green remodeling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user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spondents did not fully recognize the concept and current policies in the field of green remodeling. Green remodeling can offer energy and management cost savings in the field of housing construction. Most respondents took a positive view of the effectiveness and future prospects of green remodeling. Respondents were very interested in electric energy and natural light and considered natural lighting, insulation, and solar powered heating as important elements for current green remodeling practices. We suggest the following. First, information and public relations offerings about green remodeling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green remodeling for the public as well as for experts. Second, green remodeling needs to be actively applied to both private construction and public construction. Thus, green remodeling guideline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buildings’ purpose, size, and form.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green remodeling elements is influenced by user behavior, so there is a need to educate residents about energy saving methods and equipment us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future pilot projects for green remodeling of housing.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Ⅳ. 조사대상자의 그린 리모델링에 대한 인식 및 전망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급식에서 채식의 날 운영에 대한 찬반에 따른 중학생의 채소 메뉴 기호도 및 채식의 날 인식
- 가족행복과 관련된 요인의 연령별 분석
- 일본 식생활교육정책(食育政策)의 현황 분석
- 중국패션시장에서의 스타광고효과: 한류스타와 중국스타의 비교
- 2010-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기반한 충북지역 주민의 영양소 섭취실태
- 그린 리모델링에 대한 인식과 방향에 대한 고찰
- 새가구를 도입한 거주공간의 실내공기질 분석
- 대추분말을 첨가한 카스텔라의 품질특성
- 중국소비자의 한국상품직구에 대한 만족도와 재구매의도
- 업사이클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분석 - 래코드(RE;CODE)를 중심으로 -
- 패션브랜드의 모바일 쿠폰이용에 관한 연구
- 노인돌봄서비스 인력의 일자리 질: FGI방법 적용
- 대학가 주변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풀옵션 가구디자인 개선을 위한 유형별 실태조사
- 농축산물 인증마크에 대한 소비자지식과 추가지불의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