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유아 자아개념의 평균차이 분석
이용수 421
- 영문명
- Mean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ir Parents Self-Concept Level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종란(Lee, Jong-Ran) 전주성(Jun, JuSu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7권 3호, 97~1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개념과 부모의 자아개념 간의 관계 및 부모 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유아 자아개념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6곳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100명과 그들의 부모 100명이다.
유아 100명은 일대일 면접을 통한 개별검사를 실시하였고 부모 100명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고 유아 자아개념과 부모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측정하 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개념과 부모의 자아개념 간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유아 자아개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 자아 및 신체 자아에서 평균차이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their parents’self-concept, and the mean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ir parents’self-concept level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0 young children aged 4 and 5 who were enrolled in 6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wangmyung, Gyeonggi-do and 100 their parents.
One-way ANOVA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parents’ self-concep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their parents’ self-concept showe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Second, there were no mean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ir parents’ self-concept level, but parent self and physical self of self-concep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