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김소형(So-Hyung Kim) 배수영(Su-Young Bae) 류기상(Ki Sang Ryu)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2권 3호, 9~2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미디어를 활용한 통합예술치료를 실시하여 치매노인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J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12명의 치매노인이며 주 2회 60분씩 15회기 동안 미디어를 활용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 질적 혼합적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양적방법으로는 한국형 인지기능 척도(권용철, 박종한, 1989)와 정서 측정도구(Synder et al., 1997)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질적방법으로는 이 연구의 제 1연구자가 주 치료사로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녹취, 관찰일지, 담당 복지사와의 인터뷰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를 활용한 통합예술치료는 치매노인들의 인지와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진행 시 고려할 사항으로는 악기 수 제한, 15회기 이상의 프로그램 구성, 충분한 진행 시간이며, 주의해야 할 진행기법으로는 지시적인 진행 자제, 특정대상자에게 편중된 관심 자제, 영상 미디어 시청 시 치료사의 부가적인 설명 추가, 성급한 대상자들의 오류 수정 등 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a art therapy on the perception and emotion of demented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demented elderly people using J social welfare center located in B city and conducted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using media for 15 sessions twice a week for 60
minutes twice a week.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y was used for the research method, and the preliminary pos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Korean cognitive function scale (MMSE-K) and Synder et al. (1997) emotional measurement tools. As a qualitative method, the first researcher of this study conducted participatory observation as a main therapist, and used the program recording, observation log, and interview with the supervisor in charge. The results showed that integrative arts therapy using media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on and emo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program,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use of a single instrument, use of sanitary materials, The treatment time of each session was analyzed by using directional treatment, attention focused on specific subjects, adding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therapist when viewing video media, and correcting mistakes of impatient subjec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