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헤르만 바빙크의 속죄론 이해: 안셀름의 속죄만족설 해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258
- 영문명
- Atonement in the Thought of Herman Bavinck (1854~1921):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Anselm’s Satisfaction theory
- 발행기관
-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 저자명
- 정찬도(Chan Do Chung)
- 간행물 정보
- 『갱신과 부흥』Vol.17,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03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몇몇 네덜란드 신학자들은 바빙크가 안셀름의 속죄만족설로부터 어떠한 용어도 차용하지 않았고 그 교리를 거부한다고 여긴다. 하지 만, 바빙크가 당시 기독교 신앙의 신빙성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자 할때, 그는 안셀름적 용어를 사용하였고 부분적으로 안셀름의 속죄만 족설을 수용하였다.
첫째, 바빙크는 죄의 본질적 성격을 능동적 결핍으로 정의하면서 어거스틴을 따르지만, 안셀름과 같이 죄를 그 성격 자체 안에서 하나 님에 대한 빚과 모욕으로 여긴다. 바빙크는 또한 안셀름과 같이, 속죄는 하나님 자신과 그의 영광을 회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음을 강조한다. 둘째, 바빙크는 안셀름 신학에서 ‘속죄’ 용어를 구원을 위한 조직적 결론으로 이해한다. 바빙크는 그리스도의 희생제사를 속죄뿐 아니라 대속으로 주장한다. 필자는 안셀름의 속죄만족설이 바빙크의 속죄론에 적절히 내포되었음을 말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ome Dutch theologians considered that Bavinck did not use any term from Anselm’s satisfaction theory and also opposed it. However, when Bavinck wrestled to giv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Christian faith in modern world, he used certain terms of Anselm and he partially accepted Anselm’s satisfaction theory.
First, Bavinck followed Augustine in the crucial character of sin, defining it as an active privation, but like Anselm, he perceived sin as a debt or affront to God in its character. Bavinck, like Anselm, stressed that satisfaction is purposed to restore God Himself and His glory.
Second, Bavinck provided an interpretation on the term ‘satisfaction’ in Anselm’s theology as the systematic conclusion for salvation. Bavinck stated Christ’s sacrifice as not only a satisfaction, but also as a vicarious satisfaction. I may say that Anselm’s satisfaction theory is properly incorporated in Bavinck’s atonement view.
목차
Ⅰ. 서 론
Ⅱ. 바빙크의 안셀름의 속죄만족설 해석
Ⅲ. 평 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