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ivate Support Systems for Elderly People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김나래(Kim, Na-Rae)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家族法硏究 第31卷 3號, 145~192쪽, 전체 4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8,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the aging population surges due to low fertility and aging, most countries expect to enter the Super-aged society in 10 to 20 years. There will be a high possibility that a small number of working age population will have a burden to support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in the Super-aged Society, resulting in a slowdown of national economic growth rate and a declin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Moreover, elderly people will face poverty as they don t plan for their later years. Therefore, the problem of supporting elderly people is a national task that should be urgently resolved in order to prepare for the Super-aged Society. The government has to cooperate with people to solve this problem. So, I attempt to suggest solutions by improving laws and policies that are related to private support systems for elderly people after reviewing problems. When it comes to private support systems, I pointed out some problems in provisions of civil law such as obligation of support between lineal relative by blood, gift, adult guardian and contributory portion regarding support for elderly people. First, when adult children don’t support their parents, it is difficult to force adult children to support them. Second, after parents give their property to their children, they can’t return it. Third, elderly people is not easy to access to adult guardianship system due to expense and process. Fourth, contributory portion system is not enough to support elderly people. To solve this issues, I suggest ways. First, obligation of support of adult children for their parents should be regulated distinctly in civil law. To force adult to support their parents, we should apply article 389 under civil law analogically. Second, when a donor cancels a contract of gift due to donee’s breach of faith, article 558 under civil law should be amended in order for them to get a gift back. Third, the public guardianship system should be expanded in order for poor elderly without family to use adult guardianship system easily. The guardianship of the corporation should be activated so that the elderly get a stable guardianship service. Fourth, the surving spouse of an inheritee should have a right to receive part of the inheritee’s property which were increased during their marriage life according to the period of marriage. Even if the marriage is finished due to the death of spouse, the surviving spouse should have a right of claim for division of matrimonial property.
목차
Ⅰ. 서 론
Ⅱ. 노인부양의 필요성
Ⅲ. 우리나라 사적 부양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의 「反家庭暴力法」
- 상속을 포기한 공동상속인이 참칭상속인에 해당하는지 여부
- 혼인신고에서의 쌍방출석주의와 공증
- 배우자 상속의 강화방안
- 상속인의 점유취득
- 양육비 분담과 집행에 관한 실무상 논의
-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에 관한 실무상 검토
- 디지털유산에 대한 상속인의 정보청구권
- 민법 제1072조 제2항의 ‘공증인법에 따른 결격자’의 의미
- 법인후견 실무사례 분석과 제도 개선방안
- 후견계약 공정증서양식에 관한 고찰
- 제16차 국제가족법학회 세계대회를 참관하고
- 노인부양을 위한 사적 부양제도의 개선방안
- 보조생식 의료방법으로 출생한 자의 친자법상의 문제에 대한 고찰
- 이혼을 원인으로 한 재산분할청구채권의 확정 전 양도가능성에 관한 연구
- 개정 이탈리아 가족법에서의 「자」의 지위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