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Creativ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전화숙(Jhon Hwa Sook)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64輯, 169~19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창의인재 육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2014년(4주기) 초등학교 6학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창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하여 학생-학교 2 수준의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영향요인을 가정배경과 개인의 정의적 인지적 특성 등 학생 수준과 학교 소재지, 수업 관련 등 학교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가정배경 변인으로는 가족구조,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SES), 가정의 문화자본 보유, 부모자녀 상호작용, 부모의 학업지원 등을 투입하였는데, 이 가운데 가족구조와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창의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문화자본 보유 등 물리적 환경과 부모의 학업지원은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개인 특성 가운데는 이전 학업성취, 교과흥미도, 학습동기(내재적, 외재적), 자기통제감, 자아존중감, 운동시간, 독서태도 등이 정적 영향을 보였고, 성별, 사교육(교과목 수), 컴퓨터 사용시간 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교 수준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중시, 학습자 중심 수업, 협력적 학습문화, 학교 평균 SES가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학교의 학업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교 소재지는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창의역량 제고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aking note of recent trends in promoting students’ creative competency,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evant variables affecting creativ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purpose, student-school level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conducted using the fourth wave data of elementary school survey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KLSPSS).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y-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creative competency were family structure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Student-related variables were pre-achievement, interest in academics, intrinsic and extrinsic study motivation, sense of control, self respect, time participating in sports, and attitude toward reading. School-related variables were creative activities in school, student-based teaching, cooperative study culture of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school’s support for achievement, and school-average SES. Whi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cation of the school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s suggestions for the futur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건강 전문가의 학교방문 지원 서비스의 효과성 분석
- 초등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사-학생 의사소통과 학업성취의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 들뢰즈의 생성론과 교양교육의 이념
- 외현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 메타분석의 활용
-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메타인지를 매개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고전과 생태관광을 활용한 교과 연계 인성교육 자료 개발
- 초등학생의 창의역량 영향요인 분석
-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이 본 박근혜 정부 대학구조개혁평가의 공과 분석과 향후 발전방향
- SNS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인지된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분석
-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가치 개입(values engagement)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