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가치 개입(values engagement)
이용수 250
- 영문명
- How are Values Engaged in Program Evaluatio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원석(Lee Won suk)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64輯, 259~27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가치 개입은 불가피하고 또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평가에서 실제로 가치가 어떻게 개입되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을 잘 알지 못하고 이는 가치 개입의 논의 자체의 부족으로 이어진다는 인식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서 가치가 어떻게 개입되는지를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치 개입의 경로와 구체적인 전략을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먼저 가치 개입의 경로로서 이해관계인의 참여 측면과 평가의 연구방법 측면을 살펴보았고, 가치 개입을 중시하는 평가자들이 활용하는 주요 가치 개입 전략으로 개인적 질문, 포함, 대화, 숙고 요건, 개방적 경계 접근 등을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가치 개입이 우리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ough the value engagement in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is inevitable and important, it is not well understood how the value is actually engaged in the evaluation, which leads to the lack of discussion of value engagement itself.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more concrete and practical ways of how values are engaged in program evalu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d the path of value engagement and specific strategies with examples. The path of value engagement was divided into the stakeholder participation and the methodological process in evaluation. The strategies of value engagement included personal inquiry, inclusion, dialogue, deliberation, and open border approach.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our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가치 개입의 의의
Ⅲ. 가치 개입의 방법
Ⅳ. 우리나라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이 본 박근혜 정부 대학구조개혁평가의 공과 분석과 향후 발전방향
- 들뢰즈의 생성론과 교양교육의 이념
- 초등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사-학생 의사소통과 학업성취의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 고전과 생태관광을 활용한 교과 연계 인성교육 자료 개발
- 정신건강 전문가의 학교방문 지원 서비스의 효과성 분석
-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가치 개입(values engagement)
-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메타인지를 매개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외현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 메타분석의 활용
- 초등학생의 창의역량 영향요인 분석
- SNS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인지된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