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7

영문명
Effects of Self-efficacy by Interactivity in Social Media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발행기관
한국물류학회
저자명
문성식(Moon, Sung-Sik) 전인오(Jeon, In-Oh)
간행물 정보
『물류학회지』제27권 제5호, 135~14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상호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검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창업교육 혹은 소셜 미디어 교육을 받은 40대 이상 수강생들과 예비창업자 및 창업에 관심 있는 일반 직장인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세부적인 정책방안 도출 및 이행이 중요한 시점에서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존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지원정책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경쟁력 있는 창업기업 및 창업가의 육성은 계속 되어야 한다. 따라서 창업으로 유도하기 위한 첫단계라고 할 수 있는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있어서 교육지원이 어떠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검정하였다. 본연구의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조사되었으며, 둘째,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조사되었고, 셋째, 교육지원은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과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자리 창출 및 경제발전을 위한 창업은 계속되어야 하며 창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기관및 기업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을 더욱 활성화시켜야 하며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체계적인 교육지원이 필요하며그 교육지원은 창업교육과 소셜 미디어 활용교육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lf-efficacy by interactivity in social media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derive a research model based on preceding research to prove the correlations between mutual variables,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students over 40 who learned start-ups education or social media education, pre-entrepreneurs, or people interested entrepreneurship. To create jobs, developing new start-ups and entrepreneurs is important as well as policies that support management performance in current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method to develop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the first step to invigorate start-ups. This will explain how interactivity in social media affects self-efficacy and how self-efficacy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Also, this proves what role educational support plays when interactivity in social media increases self-efficacy. The result of analysis in this study was driven as below. First, interactivity in social media has a positive correlation on self-efficacy. Second, self-effica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education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vity and self-efficacy. The above result means to promote start-ups that will lead to economic development, social media needs to be leveraged mor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and systematic education support is needed in start-ups and social media education.

목차

Ⅰ . 서 론
Ⅱ . 이론적 배경
Ⅲ . 연구방법
Ⅳ . 연구결과
Ⅴ .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성식(Moon, Sung-Sik),전인오(Jeon, In-Oh). (2017).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물류학회지, 27 (5), 135-147

MLA

문성식(Moon, Sung-Sik),전인오(Jeon, In-Oh).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물류학회지, 27.5(2017): 135-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