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Children’s Development and Behavioral Problem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overty-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정윤모(Yoonmo Jung) 이기영(Ki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사회복지정책과-실천 2권 1호, 123~168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빈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여 부모의 방임이 자녀의 발달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국복지패널 1차 자료에서 초등학교 4~6학년 711명을 선정하였고 빈곤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순기울기(simple slope) 검증법을 함께 사용하 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 연령, 또래관계, 부모의 교육수준과 연령, 가구형태, 가구원수가 포함되었다. 연구대상자 중 균등화 소득 60% 이상의 일반가정에 속한 아동이 476명(66.9%), 그 외의 빈곤가정에 속한 아동이 235명(33.1%)이었다. 연구결과, 자녀의 학교성적, 우울 및 불안정도, 위축정도, 비행정도, 공격성 영역에서는 빈곤의 조절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자녀의 자아존중감, 주의집중 정도에서는 빈곤의 조절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차원적인 개념을 포함하는 빈곤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으며, 아동학대 뿐만이 아니라 아동방임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척도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children’s development and behavioral problem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overty. Research subjects are 711 elementary students from 4th grade to 6th grade, who are selected from Korean Welfare Panel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employed to verify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ect, poverty, children’s development and behavioral problem. Also, simple slope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moderating effect of poverty.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cludes gender, age, peer relation, parents’ academic background and age, household types and family size. Children of normal(not poor) households are 476 cases(66.9%) and children of poor households are 235 cases(33.1%). All subjects are in school grade from 4th to 6t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aps between the participants who belongs normal households and who belongs poor households were not shown except on academic achievements area.
Second, higher level of parental neglect decreases children’s development and increases behavioral problem. Third, the influence of poverty on children’s development and behavioral problem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ourth, pover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children’s attention concentration as well as parental neglect and children’s self-este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urther studies should be discussed including variety meanings of poverty. Also, decent measurement scale of parental neglect should be developed as well as parental abuse. Finally,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studied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함의
Ⅵ.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