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갱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상이 피부, 메이크업,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Menopausal Symptoms on Skin, Make-up and Hair Care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지영(Ji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8권 제3호, 157~1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2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climacteric women through menopause and marriage satisfaction and analyze the effects of menopausal symptoms on skin, makeup and hair care behavior. For th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re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0.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According to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climacteric women’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effects of menopausal symptom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he following: age, marriage satisfaction, experience of miscarriage, menopause and hormone treat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enopausal symptoms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s well, menopausal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ppeared to be more important in the following groups: aged group, group with low marriage satisfaction, miscarriage group, menopause group and hormone treatment group. In terms of the effects of menopausal symptom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physical, mental and sexual symptoms. Specifically, physical symptoms revealed the largest influence on skin care behavior while physical and mental symptoms had a large effect on makeup and hair care behavior.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skin, makeup and hair care behavior programs, the study results would be useful in planning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for menopausal wome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로마테라피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한국의 십이지신(十二支神)과 오방색을 응용한 바디페인팅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열 펌 시술 시 렌틸콩 추출물의 적용량과 적용시점에 따른 모발보호효과
- 디지털 뷰티 플랫폼의 라이프 스타일 유형별 효과와 만족에 따른 특성
- 메디컬 스킨케어 고객인식의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이 선호하는 간호사의 메이크업이미지에 대한 연구
- 20∼50대 여성의 자가 모발염색 행위에 관한 연구
- 헤어기업 관리자 인사평가제도 구축에 관한 연구
- 뉴스 앵커 이미지가 뉴스 선택에 미치는 연구
- 초·중·고등학생의 화장품 사용 및 화장행위 실태에 관한 연구
- 체구성분 및 스트레스지수 변화에 대한 수기요법영향에 관한 연구
- 헤어아트 연구 동향 분석
- 미용장 기출 업스타일의 디자인 형태분석연구(2010년∼2015년)
- 피부미용기기와 나노화장품의 피부 유효성에 관한 연구
-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인식에 따른 직무교육과 중요도 및 숙련도에 관한 연구
- 갱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상이 피부, 메이크업,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백년초(OFSE) 추출물을 처방한 미스트의 펌 전처리 효과
- 불만족 고객의 미용 의료서비스 품질 분석 및 재방문 의도 연구
- 헤어 디자이너의 이미지 중요도와 만족도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일본의 네일 디자인에 나타난 장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