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Usage of Cosmetics and Makeup by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채영(Chae Young Park) 박정연(Jeong Ye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8권 제3호, 195~20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2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related to cosmetics in schools as well as to secure data on the makeup culture among teenagers by identifying the actual usage of cosmetics by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elow.
For basic care products used by students, ‘lo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io at 79.7%. The ratio of students using makeup products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did not use makeup products. The reason for using makeup ‘For looking more beautiful’ showed the highest ratio, 45.9%, and the reason for not using makeup as ‘Because it’s tiresome’ had the highest ratio, 18.6%. The grade of starting makeup use was ‘from elementary school’, which respons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52% among the respondents using makeup. The frequency of makeup use was once or twice a week (37%), the highest ratio among frequency responses. The situations for makeup were ‘All the time’ (30.6%), the highest ratio in the situations for makeup use. Furthermore, the makeup products showing the highest ratio were ‘BB and CC Cream’ (46.8%) for facial expression, ‘Tint’ (70.6%) for lips and ‘Eyeliner’ (58.1%) for eye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age of starting makeup use significantly dropped as the age for makeup was expand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pplication of cosmetic products included makeup for skin, lips and eyes as well as basic care products such as toner and lotion.
In conclusion,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makeup products will continue to increas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on makeup to build the appropriate awareness of it and to more extensively investigate issues related to makeup.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헤어기업 관리자 인사평가제도 구축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이 선호하는 간호사의 메이크업이미지에 대한 연구
- 메디컬 스킨케어 고객인식의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갱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상이 피부, 메이크업,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인식에 따른 직무교육과 중요도 및 숙련도에 관한 연구
- 헤어아트 연구 동향 분석
- 디지털 뷰티 플랫폼의 라이프 스타일 유형별 효과와 만족에 따른 특성
- 미용장 기출 업스타일의 디자인 형태분석연구(2010년∼2015년)
- 백년초(OFSE) 추출물을 처방한 미스트의 펌 전처리 효과
- 열 펌 시술 시 렌틸콩 추출물의 적용량과 적용시점에 따른 모발보호효과
- 불만족 고객의 미용 의료서비스 품질 분석 및 재방문 의도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네일 디자인에 나타난 장식에 관한 연구
- 헤어 디자이너의 이미지 중요도와 만족도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뉴스 앵커 이미지가 뉴스 선택에 미치는 연구
- 아로마테라피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초·중·고등학생의 화장품 사용 및 화장행위 실태에 관한 연구
- 체구성분 및 스트레스지수 변화에 대한 수기요법영향에 관한 연구
- 피부미용기기와 나노화장품의 피부 유효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십이지신(十二支神)과 오방색을 응용한 바디페인팅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20∼50대 여성의 자가 모발염색 행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