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Prose Part in the Existing Classical Chinese textbook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National Curriculum : Focusing on Biographically Historic Writings and Practical Writings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김성중(Kim, Sung-joong)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2輯, 123~163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reconstruct the prose part in the existing Classical Chinese textbooks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national curriculum. We examine the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and the various related research findings. We also discuss the range of excerpt, background of work, learning goal, etc, targeting ‘Mandeok’ as an example of biographically historic Writings and ‘Hunminjeongeum’ as one of practical writings. Based on that, we make some suggestions on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We anticipate this approach could contribute to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future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목차
1. 서 론
2. 2015 교육과정 및 교과서 인정기준과 교과서 개발 방향
3. 기존 교과서의 ‘산문’ 분석 및재조직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기존 한문 교과서의 ‘ 산문 ’ 부문 분석 - 史傳文, 實用文 작품을 중심으로 -
- 신발견 麗・元관계 자료 金汝盂의 < 文翰公 丹卷 > 에 대한 고찰
- 漢文 敎科書 所載 ‘ 成語 ’ 批評
- 영남루와 아랑 : 아랑 서사의 탄생과 그 변주
- 冊契로 본 17 세기 南人들의 상업출판
- 중등 한문교과서 ‘ 경전・제자백가 ’ 의 학습요소 * - 제재와 주제, 논리의 맥락성을 중심으로 -
- 조선후기 탄원서 작성과 修辭法 활용 - 고문서학과 한문학의 연구 접점 시론 -
- 조선후기의 금・원대시 수용 연구 - 이덕무의 청비록 을 중심으로 -
- 중학교 漢詩 교육을 위한 제안 - 2009개정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