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검사에서 튜브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 평가
이용수 123
- 영문명
- Assessment of Exposure Index based on Changes of Tube Angle in Portable X-ray Examination using Digital Wireless Detector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병걸(Byeong-Gull Kim) 강성일(Sung-Il Kang) 박성모(Sung-Mo Park) 이민우(Min-Woo Lee) 김순배(Soon-Bae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6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39~4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검사에서 튜브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를 평가하고, 환자의 방사선 피폭 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이동형 방사선 발생장치와 디지털 무선 검출기(14″×17″)를 이용하였고, 흉부 팬텀을 사용하였다. 검사는 튜브 각도 0。기준으로 양극과 음극 방향으로 각각 30。까지 5±。증가시켜 변화를 주었고, 관전압과 관전류는 60kVp/
2mAs, 60kVp/4mAs, 85kVp/4mAs, 85kVp/8mAs로 네가지 촬영조건을 선택하였다. 튜브 각도에 따라 각각의 촬영조건을 적용시켜 각 조건마다 10회씩 검사를 시행하여 노출지수 값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획득된 자료는 튜브 각도 0。기준으로 하여 동일 촬영조건에서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 값을 비교 분석하였고, 통계 프로그램(SPSS)을 이용하여 튜브 각도와 노출지수 값과의 상관관계 분석과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튜브 각도 0。기준으로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 값의 비교 분석 결과, 85kVp조건에서는 양극과 음극 방향 모두에서 튜브 각도가 20。이상일 때 증감률이 ±5% 범위를 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60kVp에서는 양극 방향에서 20。이상일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음극 방향에서는 4mAs일 때 25。이상에서 노출지수 값의 증감률이 ±5% 범위를 넘었다 (p<0.05).
결 론 :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검사에서, 노출지수는 튜브 각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정 각도까지는 노출지수의 적정범위 내에서 감소하기 때문에 영상 화질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튜브 각도가 증가하는 축 방향 검사 등을 시행할 경우, 허용 가능한 노출지수 범위 안에서는 촬영조건을 높이지 않더라도 우수한 의료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는 데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ssess exposure index based on changes of tube angle in portable X-ray examination using digital wireless detector and suggest methods to reduce patients radiation exposure.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used portable radiation generator and digital wireless detector (14” ×17”) for torso phantom. Tests were conducted by increasing tube angle by 5 degrees each time from 0。 up to 30。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les and by selecting the 4 exposure conditions of 60kVp/2mAs, 60kVp/4mAs, 85kVp/4mAs, 85kVp/8mAs for tube voltage and tube current. Applying each exposure condition to tube angles, the study measured
exposure index values by performing 10 tests for each condition and calculated mean values. With acquired data, exposure index valu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nge of angles in the same shooting condition with tube angle 0。as its standard and, by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correlation between tube angles and exposure index values was analyzed and their significance was assessed.
Result : As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of exposure index values based on the change of angles with tube angle of 0。as standard, in the condition of 85kVp, the rate of change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les exceeded ±5% when the tube angle was over 20。, which demonstr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On the other hand, in 60kVp, the rate of change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tube was over 20。in positive pole only and in the negative pole, rate of change in exposure index in 4mAs was over ±5% (p<0.05).
Conclusion : It turned out that the bigger the tube angle, the smaller the exposure index in the portable
radiation test using digital wireless detector. However, since the exposure index decreases in a proper range to a certain angle,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the image quality. Thus, excellent medical images can be acquired without having to increase shooting condition if the test is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with increasing tube angle, which is deemed to contribute to reducing patients radiation exposur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Heel Effect가 영상에 미치는 영향과 감소법
- 유아기 여아의 생식선 차폐체 제작을 위한 골반 지표 계측
- Image pasting 검사 시 SID에 따른 확대율 평가
- 디지털 X-ray 에너지 조건 선택에 따른 요로결석 검출능력 비교
- 소아 상지 X-ray 검사(왼손 성장판 X-ray검사)시 환자의 방사선피폭선량 측정 및 감소활동
- 신생아 감염예방을 위한 비접촉식 차폐도구의 연구
-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의 납당량, 종류에 따른 성능평가
- Long Bone 검사시 촬영 방식에 따른 영상 왜곡률 평가
- 소아 흉부 X-ray 검사 시 Exposure field 조정에 따른 유효선량의 평가
- 소아 투시검사 시 필터 사용에 따른 피폭선량 감소
- 전 척추 측방향 검사 시 경추 filter device에 대한 유용성 평가
- 영상진단 검사 시 발생하는 성희롱에 대한 인식조사
- 디지털 방사선장치에서 흉부검사 시 복합 부가filter 사용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DR X-선 장비를 이용한 상, 하지 검사 시 촬영거리 변화에 따른 선량감소와 영상의 유용성 평가
- Needle guide를 사용한 입체정위생검술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검사에서 튜브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 평가
- 이동식 디지털 흉부 X-선 장비의 중심정맥관 대조도 증강 영상에 대한 고찰
- 검사 방법에 따른 Lower Extremity Scanogram의 비교
- 흉부 Phantom을 이용한 Chest PA검사에서 자동 노출방식의 Density와 Sensitivity 설정 값에 따른 영상 및 피폭선량에 대한 고찰
- 일반촬영실 납마커의 오염인식도 및 오염도에 관한 연구
- DR을 이용한 비 외상 환자의 대퇴 경부 측방향 검사 시 최적의 X-선 입사각도 및 환자자세
- 직무순환제도에 따른 직무만족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